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와 융합 10호표지 (1)_1.jpg
KCI등재 학술저널

일본열도 한반도도래인(韓半島渡來人)설 부정(否定) 인식 정리

A critique of the theory that does not admit that immigrants from ancient Korea to Japan were large: Focusing on Sekine Hideyuki s Tsuda Sokichi research

  • 39

본 소고(小考)의 목적은 한국 강단 고대사와 고고학계에 광범위하게 일반적인 인식으로 자리잡은 일본 열도의 한반도도래인(韓半島渡來人) 부정 사관이 쓰다소키치의 ‘일본민족 단일민족론’에 상당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는 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정리 보고하는 것이다. 즉, 쓰다 소키치의 역사관이 한일 양대 고대사 고고학계에 현재까지 초지일관 적용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일본열도에서 발굴되는 모든 유적과 유물들에 대한 해석이 왜곡되고 있다는 것을 정리 보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결과들은 세키네 히데유키(關根英行)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research so far that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at does not recognize migrants from ancient Korean countries who have moved to the Japanese archipelago, which has become a widespread perception in Korean pulpit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sudasokichi s Japanese monoethnicism.“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sudasokichi s view of history is to report that it has been consistently applied to the two ancient historical archaeological circles of Korea and Japan, and as a result, the interpretation of all relics and relics excavate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is distor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focusing on the studies of Hideyuki Sekine.

Ⅰ. 서론

Ⅱ.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일본민족 단일민족주의’

Ⅲ. 쓰다 사학과 한·일 고고학계의 한반도도래인 부정(否定)인식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