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젠더평등 증진에 따른 출산율의 반등 가설을 실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80년부터 2017년까지 OECD 16개국의 시계열 자료를 결합하여 산점도분석과 결합시계열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평등 수준과 합계출산율의 U자형 분포가 관찰되었으며, 1990년대를 기점으로 출산율이 반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980년대에는 젠더평등 수준과 경제발전 수준이 낮고 가족급여 지출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높게 나타났지만, 1990년대부터 젠더평등 수준과 경제발전 수준, 그리고 가족급여 지출 비중이 모두 높은 국가에서 출산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젠더평등 이론에서 강조하듯이, 출산율이 반등하여 젠더평등한 가족균형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성 생애주기의 남성화’와 ‘남성 생애주기의 여성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hypothesis of a rebound in the fertility rate due to the promotion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scatter-plot analysis and pooled cross-sectional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combining longitudinal data from 16 OECD countries from 1980 to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U-shaped distribution of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tility rate rebounded from the 1990s. In the 1980s, countries with low levels of gender e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a higher proportion of family benefit expenditure showed higher fertility rates. However, since the 1990s, countries with higher levels of gender equality, economic development, and family benefit expenditures have shown higher fertility rates. Therefore, as the gender equality theory emphasizes, ‘masculinization of the female life cycle’ and ‘feminization of the male life cycle’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in order to achieve a gender-equal family balance by rebounding the fertility rate.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