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267.jpg
KCI등재 학술저널

배타성이 다문화수용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xclusivity on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cusing on the dual attitude towards immigrants

DOI : 10.26847/mspa.2022.32.1.89
  • 550

전통적으로 한국사회는 폐쇄적인 사회로 일컬어지고 있으나 이주민이 증가하고 다문화가정이 늘어나면서 사회통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주민 혐오, 선진국 선호에 대한 실증연구는 충분하지 않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 기여하기 위해 이주민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중심으로 배타성이 다문화수용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배타성을 독립변수,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변수, 이주민 혐오와 선진국 선호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two-way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한국인 중심성과 이주민 배타성이 높을수록 이주민 혐오와 선진국 선호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계성이 높고 보편성이 낮을수록 이주민 혐오가 낮게 나타났으며, 관계성, 다양성이 높고 보편성이 낮을수록 선진국 선호가 낮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중심성, 이주민 배타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규명하고 이주민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바라보는 새로운 견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미를 갖는다. 한편, 추후 연구 에서 이주민에 대한 이중적 태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새로운 요인의 탐색, 질적 사례연구 등의 방법론 등을 활용함으로써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called a closed society, but as the number of 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is increasing.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r this purpose, but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ies on migrant hatred and preference for developed countries. want to To this end, using the results of the ‘2018 National Multicultural Receptivity Survey’, a two-way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exclusiv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s a parameter, and migrant hate and preference for advanced countries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centrality of Koreans and the exclusivity of migrants, the higher the dislike of migrants and the preference for developed countries. Also,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nd the lower the universality, the lower the dislike of mig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need for various policy efforts to lower Korean centrality and migrant exclusivity, and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dual attitude toward migrants. On the other hand, it is expected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pplemented in future studies by using methodologies such as the search for new factors that can influence the dual attitude toward migrants and qualitative case studies.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분석모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