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부족 국가인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가공 및 중계무역 형태의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을 거듭해 왔으며, 2011년에 총 교역액 규모 1조 달러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서, 세계 10위권의 거대무역 국가로 거듭나게 되었다. 가공무역 중심의 수출주도형 경제구조를 지닌 우리나라는 수출경기가 국내 내수 경기에 선행하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월별 수출실적은 그 자체로도 중요한 경기지표의 척도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최근 수십 년 간, 국내 전체 기업체수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기준 약 35%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수출기여도를 중요시 하는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실제 수출실적에 근거한 중소기업수출경기지수(가제,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Export Business Index)를 개발하여, 기존의 국내 기업설문조사에 근거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차별화 된 대안지수(alternative index)로 제시하고자 한다.
Korea, a resource-scarce country, has been undergoing export-led economic growth in the form of processing and intermediary trade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In Korea, which has an export-led economic structure centered on processing trade, the export economy precedes the domestic economy, so Korea s monthly export performance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conomic indicators in itself. In recent decad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hich account for 99% of the total number of domestic enterprises, account for about 35% of exports as of 2021. In this study, from the viewpoint of emphasizing the export contribution of SMEs,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Export Business Index is developed based on the actual export performance of SMEs, through which this paper could present alternative index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Business Survey Index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론
Ⅳ. 지수개발 및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