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북한·일본수어의 대조언어학적 특징
Contrastive Linguistic Study on South Korean, North Korean and Japanese Sign Language at the Level of Phoneme and Lexis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 특수교육논집
- 특수교육논집 제26권 제2호
-
2022.021 - 20 (20 pages)
- 207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한국·북한·일본수어의 음운과 단어 수준의 대조언어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개국 수어의 수어단어와 수어소별 일치율, 수어소별 출현 빈도, 복합어 형성 방식, 동형동의어와 동형이의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분석을 위하여 3개국의 대표적인 수어사전과 수어자료를 비교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단어는 모두 401개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북한·일본수어의 완전일치도는 15%로 아주 낮았으며, 3개국 간 일치도가 가장 높은 수어는 한국수어와 일본수어로 33%였으며, 한국수어와 북한수어는 30%, 북한수어와 일본수어는 18% 순이었다. 수어소별 일치율을 살펴보면, 모든 수어에서 수위 일치율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수향, 수형, 수동 순이었다. 둘째, 수어소별 출현 빈도를 살펴보면, 3개국 수어의 다빈도 수어소는 전반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형은 9형, 주먹형, 1형, 편손형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수위는 중립공간, 손바닥, 손바닥/근접공간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수동은 반복운동, 정지운동, 접촉운동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수향은 후방향, 하방향, 좌방향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3개국 수어의 다빈도 수어소는 서로 비슷하였지만, 다빈도 수어소를 제외하면 수어소 출현율은 3개국 수어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복합어 형성에서 순차적 형성과 동시적 형성이 3개국 수어에서 빈도가 비슷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동형동의어는 한국·북한·일본수어에서 모두 75개(19%)가 발견되었고, 동형이의어는 3개([뉴스], [매일], [어렵다])가 발견되었다. 결론: 한국·북한·일본수어는 수어단어의 유사도가 낮아서 이질성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3개 수어를 하나의 일본수어어족으로 범주화하는 것은 어려움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inguistic components among South and North Korean Sign Languages(KSL) and Japanese Sign Language(JSL) such as the coincidence of phonemes, frequency of phonemes, construction of compound words, and characteristics of true friends and false friends. Method: For the analysis, representative sign language dictionaries of three countries and sign language data were compared, and a total of 401 wor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correspondence among three sign languages was only 15%, specifically between South KSL and JSL was 33%, two KSLs was 30%, and North KSL and JSL was 18% which was the least corresponding. In second, the coincidence of four parameters in three sign languages was analyzed that LOCATION was the highest coincidence, then ORIENTATION, HANDSHAPE, and HAND MOVEMENT in order. Interestingly, the high frequency of phonemes was similar in the three sign languages. The frequency of HANDSHAPE revealed NINE, fist, ONE, open palm in order; LOCATION was neutral place, palm, palm/near place in order; MOVEMENT was repetitive, close movement, touch linking action in order; in last, ORIENTATION was backward, downward, leftward in order. In third, the results of compounding words indicated that three sign languages had a similar way in the sequential compounding and the simultaneous compounding.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75 words as True Friends in three sign languages, but only three words; NEWS, EVERY-DAY, HARD as False Friends. Conclusion: The heterogeneity of the three sign languages was so high that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m into Japanese Sign Language Family.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