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303.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령친화환경의 조절효과를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

Moderating Effect of Age-Friendly Environment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DOI : 10.31888/JKGS.2022.42.2.381
  • 435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를 고령친화환경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74세 미만 전기노인 277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물리적 고령친화환경, 서비스 고령친화환경, 사회문화적 고령친화환경이 개별적인 조절변수로 각 분석모형에 포함되었다. 조절효과분석은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심층적 탐색을 위해 단순 기울기(Simple Slope)와 존슨-네이만(Johnson-Neyman Technique) 분석을 병행하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인지기능이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고령친화환경의 하위 항목은 서비스 환경(B=-.180, p<.05)과 사회문화적 환경(B=-.199, p<.05)이었고,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B=-.070, n.s.). 즉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웨어러블 로봇기기를 사용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정도가 낮아지지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고령친화 정도가 서비스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 측면에서 높다고 인식할수록 인지기능이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것이다.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은 실제 기술사용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는점에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다고 인식하는 노인들의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기술사용을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존의 고령친화환경을 이루는 도식과 요소에 기술의 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책적인 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ge-friendly environ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especially on the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of older adults. According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7 older adults aged 65-74 years living in Korea. SPSS PROCESS Macro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nd simple slope and Johnson-Neiman method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in dep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service-side environment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significantly.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in the service-side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less impact of cognitive ability on the ease of use of technology. Since the perceived ease of 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leading to actual technology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researchers efforts and policy attempts to provide a place for technology in the elements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are needed.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