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303.jpg
KCI등재 학술저널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의 임시직 재취업 경험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emporary Reemployment for Retired Babyboomers

DOI : 10.31888/JKGS.2022.42.2.335
  • 566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가 경험하는 은퇴 후 임시직 재취업 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베이비붐세대는 교육 수준과 소득이 기존 노인 세대에 비해 높지만 지출이나 부채 규모가 크고 경제적 이유 이외에도 다양한 의미에서 은퇴후 재취업을 하고자 하므로 재취업은 이들의 노년기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면서안정된 직장에서 정년 퇴임한 후 임시직으로 재취업한 베이비붐 은퇴자 남성 2명, 여성 4명 총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을 근거로 자료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은퇴 후 임시직 재취업 경험을 ‘일에 대한 자부심을가지고 가족을 위해 노력하는 삶’, ‘사회 구성원으로서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 ‘지속적인 배움으로 무위도식하지 않는 삶’, ‘재취업으로의도전은 제2의 인생’으로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은퇴한 베이비부머의 재취업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herent meaning of temporary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at the baby boomer cohort experiences. The baby boomer cohort is high i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ncome when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elderly groups. However, the baby boomer cohort tends to have a large amount of expenditure or debt. They also attribute various meanings other than economic circumstances when it comes to assess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Therefore,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ives in old ag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by a purposive sampling of two males and four females. They were individuals that had retired from stable workplaces and had reemployment experience in the city of Gwangju and in Jeollanam-do.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an in-depth interview.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roduced by Colaizzi was used for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s a result, four main themes that include ‘Striving for the family with pride in one’s work’, ‘Acceptance as a valuable member of society’, ‘Continued learning to lead a more productive life’, and ‘Reemployment challenge is one s second life’ were reveal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variou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