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근무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the Working Experiences of Middle Managers in Nursing Homes
- 박미리(Miree Park) 최수찬(Soochan Choi) 양승민(Seungmin Yang)
- 한국노년학회
- 한국노년학
- 제42권 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4
- 179 - 200 (22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의 효과적인 조직운영과 관리를 위해 핵심적 역할을 하는 중간관리자의 직무경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노인요양시설의 중간관리자는 실무 전반을 담당하면서 직원과 자원을 관리하고, 돌봄서비스 활동을 감독, 조정, 평가하며, 시설장에서부터 서비스 직접제공인력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소통과 연계를 하는 등 조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요양시설 중간관리자의 직무경험에 대한 관심은 매우 부족하다. 본 사례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연구 안내 자료를 발송한전국의 노인요양시설 837개소에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중간관리자 24명 중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적합한 대상자 8명을 유의 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5월부터 7월까지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화상프로그램 Zoom을 이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면담 내용은 Stake(1995)가 제안한 범주적 집합(categorical aggregation)과 직접적 해석(direct interpretation) 방법을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간관리자의 핵심 역할과 관련해서 20개의 하위범주와 9개의 상위범주, 4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고, 그 핵심주제는 ‘시설장과 직원들의 연결고리로서 원(one)팀 만들기’, ‘어르신 및 보호자의 주된 소통창구 역할 해내기’, ‘중간자로서가치 혼란 속에서 균형 잡기’, ‘제도·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요양시설의 중간관리자를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orking experience of middle managers who play a key role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ursing homes.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are in charge of the overall operation, manage staff and resources, supervise, coordinate and evaluate care services, and communicate and link closely from the head of the nursing homes to the direct service providers. Nevertheless, there is very little interest in the job experiences of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The participants of this case study were 8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which were extra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24 middle manager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among 837 nursing homes nationwid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the video program Zoo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rom May to July 2021, and was analyzed using direct interpretation and categorical aggregation methods suggested by Stake(1995). As a result of the study, 20 sub-categories, 9 super-categories, and 4 core 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core role of middle managers. ‘Creating one team as a link between the facility manager and employees’, ‘Acting as the main communication channel for residents and their family’, ‘Balance in value conflict’, and ‘responding flexibly to changes in the system and environment .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offer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middle managers of nursing homes.
Ⅰ. 문제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