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305.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WMS 모형을 활용한 산지 소하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Basins using WMS Model

DOI : 10.21729/ksds.2021.14.4.9
  • 24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명 및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저감 대책방안을 수립하고 있으나 국립공원과 같이 자연보호를 최우선으로 하는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계룡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유역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계룡산 국립공원 중 3개 소유역(지석골, 수통골, 동학사)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탐방객이 이용하는 탐방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립공원 내 탐방로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립공원의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requency of flash floods in mountainous areas is increasing due to the abnormal weather that occurs increasingly in the recent, and it causes human and material damages is increasing. Various plans for disaster mitigation have been established, but artificial plans such as raising embankment and dredging operation are inappropriate for valleys and rivers in national parks that prioritize nature protection. In this study, flood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Gyeryongsan National Park in Korea using the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which is rainfall runoff model for valleys and rivers in the catchment. As the result, it was simulated that it is flooding in three sub-catchments (Jusukgol, Sutonggol, Dinghaksa) of a total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when rainfall over the 50 years return period occu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isk of trails and facilities what visitors are using was high. The risk of trails in national parks was quantitatively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we intend to present the safe management guidelines of national parks in the future.

1. 서 론

2. 연구 유역

3. 연구 방법

4. 유출량 산정 결과

5.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