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328.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일의 사회통합 담론

Arguments over Social Integration in Germany: ‘Illusion’ of Parallel Society

DOI : 10.32625/KJEI.2022.26.157
  • 125

‘평행사회’는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이주자의 사회통합이 사회문화적·사회정치적 담론의 주제로 거론될 때마다 또는 이주자의 ‘실패한 사회통합’이 사회문화적·사회정치적 문제로 불거질 때마다 마치 단골처럼 등장하는 개념이다. 부정적 이미지로서의 평행사회가 한 사회문화적 공동체 안에서 실제로 존재한다면, 그 책임 소재는 과연 누구에게 있을까? 평행사회는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에게 이주사회로의 통합 의지가 결핍되거나 부족해서 생겨나는것 일까? 평행사회는 이주자에 대한 주류사회 구성원의 반감, 차별, 배제, 거부로 인해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이 자신들만의 생활 공간으로 숨는 것 이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어 주류집단과의 사회문화적 공간을 차단하고 격리함으로써 생겨나는 것일까? 독일사회에서, 더 나아가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벌어졌던 그리고 벌어지고 있는 사회통합에 대한 사회정치적 담론들의 대부분은 다문화주의의 실패와 사회통합의 실패가 주류집단의 책임이 아니라, 평행사회를 구축한 이주집단(또는 이주 배경을 지닌 집단)의 책임이라는 결론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다음 견해에 주목해 보자. ‘일반적으로 다문화사회에서는 다수자를 향한 소수자의 문제가 아니라, 소수자를 향한 다수자의 문제가 항상 있을 뿐이다.’ 이주자가 아니라 주류집단 구성원에게 사회통합의 의지가 결핍되거나 부족해서, 그리고 주류집단 구성원이 이주자에게 적대적·차별적·배타적·거부적 태도를 취해서 사회통합이 제대로 도달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는 과연 없을까? 그렇다면 독일사회를 포함한 유럽의 선진 다문화사회에서 평행사회는 한낱 ‘허상’에 불과할 뿐이다.

‘Parallel society’ is a concept that appears like a regular whenever the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is discussed as a topic of sociocultural and -political arguments i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ies in Europe or whenever the ‘failed social integration’ of migrants happens as a sociocultural and -political issue. If a parallel society in a negative image actually exists within a sociocultural community, who is responsible for it? Does a parallel society emerge because the migrant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nt background) lacks or is deficient in the will to integrate into a migrant society? Is a parallel society created by blocking and isolating the sociocultural spaces from mainstream group because the migrant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nt background) has no choice but to hide themselves under their own living space due to the antipathy, discrimination, exclusion, or rejection of the mainstream society toward migrants? Most of the sociopolitical arguments over social integration in the Europea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y including German society result in the conclusion of ‘having double standards’ or ‘Naeronambul (i.e. it’s a romance if I love someone, but it’s an affair if others do)’ that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and social integration is not the responsibility of the mainstream group, but that of the migration group (or the group with migration background). Let’s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saying, Generally speaking, there is always a problem of the majority towards the minor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not the problem of the minority towards the majority. Wouldn’t it be possible to think that social integration is not properly reached because members of the mainstream group, not migrants, lack or are deficient in the will of social integration, and that members of the mainstream group take hostile, discriminatory, exclusive, and rejective attitudes toward migrants? If so, in the European advanced multicultural society, including German society, parallel society is only an ‘illusion’.

Ⅰ. 서론

Ⅱ. ‘평행사회’란?

Ⅲ. 독일의 평행사회 논쟁

Ⅳ. 평행사회 존재 가설

Ⅴ. 평행사회의 ‘허상’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