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주기적 지정제는 감사품질을 제고하는가?

Does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Improve Audit Quality?

  • 309
커버이미지 없음

신 외감법의 도입으로 2020년부터 주기적 지정제가 시행되었다. 주기적 지정제는 감사인과 기업 간 유착위협에 따른 감사인의 독립성 저하를 보완하고 감사인을 일정기간 지정함으로써 자유수임제를 보 완하는 감사인교체제도와 감사인지정제도를 결합한 제도이다. 주기적 지정제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는 감사품질이 향상되었는지를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우선 감사품질의 대용치로 재량적 발생액(DA)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경영자가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발생액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 니므로 감사인이 적발하기 어려운 영업현금흐름을 통한 이익조정 측정치를 동시에 살펴볼 필요가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Roychordhury(2006)의 실물이익조정(RM)을 재량적 발생액(DA)과 동시에 검증 하였다.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변량회귀분석에 의해 주기적 지정제가 도입된 첫해인 2020년도 주기적 대상기업의 DA는 주기적 대상기업이 아닌 기업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2020년도 주기적 대상기업의 실물이익조정(RM)은 주기적 대상기업이 아닌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 편, 주기적 지정제 대상기업의 경우 기업규모나 파산위험 등 표본선택편의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Heckman(1979)의 2단계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DA의 크기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RM의 사용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기적 지정제가 감사인의 외관상 독립성 을 제고하여 재량적 발생액 측면의 감사품질을 제고하였으나 감사인이 적발하기 어려운 실물이익조정 을 증가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주기적 지정제의 최초 도입효과를 처음으로 살 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감사인과 기업, 규제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as implemented from 2020 due to the revision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Corporations.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is a combination of the auditor rotation and the auditor designation, which compensates for the decrease in auditor independence due to the risk of collusion between auditors and firm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iodic design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e audit quality has improved from various angles. Since managers do not use only accruals as a means of earning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examine earnings management measures through operating cash flows, which are difficult for auditors to detect. We investigate the level of Roychordhury’s (2006) real earnings management(RM).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DA of periodic target companies in 2020, the first year of the adoption of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n-periodic target companies. On the other hand, the real earnings management(RM) of periodic target companies in 2020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non-periodic target companies. Meanwhile, in the case of companies subject to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sample selection bias such as company size or bankruptcy risk may exi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is using the two-step method of Heckman (1979), the size of DA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the level of RM increased significantl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does improve audit quality in terms of discretionary accruals, but this system has increased the auditor’s apparent independence. This study sheds lights on the effect of the initial adoption of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for the first time, and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auditors, companies, and regulato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결 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