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회계관리자의 경력과 가치관련성
Career of Internal Control Manager and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 한국공인회계사회
- 회계ㆍ세무와 감사 연구
- 제64권 제1호
-
2022.03155 - 184 (30 pages)
- 143
2018년 11월 시행된 외부감사법에 따라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보고서에 회계담당자의 경력정보를 공시하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이 있는 내부회계관리자의 자격요건과 임면절차를 갖추어야 한다. 기업은 경력정보의 신규 공시를 통해 회계담당자의 재무제표 작성 책임을 제고하는 한편, 사업에 대한 충분한 경험과 회계 전문성을 갖춘 임원을 내부회계관리자로 임명하여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과 공시라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개정 외부감사법에 따라 2018년부터 신규 공시된 내부회계관리자의 경력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내부회계관리자의 경력이 길수록 기업의 회계정보 즉, 순자산 및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높아지는지 검증한다. 분석 결과, 내부회계관리자의 근무경력과 회계관련경력이 긴 기업은 순자산과 순이익을 통한 기업가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가 신규 공시된 회계담당자의 경력정보를 통해 기업이 보유한 인적자원 역량을 평가하고, 내부회계관리자의 근무경력 및 회계관련경력이 긴 기업의 회계정보에 더 높은 신뢰성을 부여하여 기업가치에도 긍정적으로 반영함을 의미한다. 추가 분석을 통해 회계담당임원과 회계담당직원의 경우에도 근무경력과 회계관련경력이 길수록 순자산 및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11월 외부감사법 시행에 따른 회계담당자의 경력정보 공시를 활용하여 내부회계관리자의 경력과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을 처음으로 분석한 점에 의의가 있다. 투자자가 공시자료를 통해 내부회계관리자의 역량을 평가하고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는 본 연구 결과는 기업 스스로가 강화된 외부감사법에 대비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운영을 담당하는 인적 역량을 적극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2018 requires firms to dis clos e career information of accountants and es tablis h the qualifications and procedures for appointment and dis mis s al of the internal control manager who is generally res pons ible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Firms can enhance the responsibility of accounting managers to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through new disclosures of career information. It is also expected that firms appoint executives with sufficient working experience and accounting expertise as internal control manag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f preparing and disclosing reliable external financial reporting.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the career of internal control manager a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longer the career of internal control manager, the greater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We use 2,068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18 to 2020 for firms listed on the KOSPI.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 longer the working career and accounting career of internal control manager, the greater the pos itive effect of firm value through net as s ets and net profits . The res ults s how that inves tors can evaluate the human resource capabilities of firms using the newly disclosed career information. This implies that internal control manager’s long work experience and accounting expertise are positively reflected in firm value by giving higher credibility to the accounting information. Additional analyses s how s imilar res ults in the cas e of accounting officer and accounting s taf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first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areer of internal control manager an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using the disclosure of career information following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2018. Inves tors can evaluate the capabilities of internal control managers and reflect them in their inves tment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irms need to reorganize related organizations and actively manage the human resource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reliable accounting information. Firms’ efforts to effectively design and operat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can increase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모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