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연구보고서

건설동향브리핑 851호

  • 이용수 23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초록

● 건설산업이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12% 차지, 건물 운영은 30% 차지 지구 온난화를 초래하는 온실가스에는 대표적으로 6가지가 있으며, 이 중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에 가장 결정적 영향을 미침. -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는 규제 대상 6대 온실가스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유황(SF6)을 지정함. - 이 가운데 특히 이산화탄소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지구온난화의 가장 핵심적 요인임. 1985년 세계기상기구(WMO)와 국제연합환경계획(UNEP)은 이산화탄소를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음.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화석연료를 활용한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데, 건설산업은 2020년 기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12%를 차지하고, 건물의 운영단계에서도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30%를 차지하고 있어 탄소배출 유발이 큰 산업임. - 세계 건축 및 건설연맹(Global Alliance for Buildings and Construc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광의의 건설산업(건설자재 생산 포함)에서 소비된 에너지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12%(건물 건축 건설산업 6%, 건물 건축 외 건설산업 6%)를 차지함. - 광의의 건설산업과 유사한 범위에 해당하는 건설투자는 OECD 통계 기준으로 OECD 국가들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0%대 초중반을 기록하고 있어 건설산업의 에너지 소비 비중과 유사함. - 준공된 건물의 운영(operation)단계에서도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는데, 주거용 건물 운영에 소비된 에너지가 전 세계 에너지 소비의 22%를 차지하고, 비주거용 건물 운영에 소비된 에너지가 8%를 차지함. ● 건설산업 및 건물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전 세계 이산화탄소의 47% 차지 세계 건축 및 건설연맹(Global ABC) 보고서에 따르면, 광의의 건설산업(건설자재 생산 포함)과 건물 운영단계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의 47%를 차지해 상당한 수준임.

목차

정책동향

건설기업의 데이터 기반 가치 창출 역량 여전히 부족

시장동향

2월 건설경기, 건설기성과 건축착공 동시 감소

산업정보

건설산업 및 건물의 에너지 소비와 탄소배출

건설업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활용 실태

건설논단

지역 인프라 공약, 책임 있는 약속 이행을 바라며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