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극장은 1930년대 조선의 최고 인기 공연장 중 하나였다. 연극 상설 공연장이었던 까닭에 상시 연극 공연이 진행되었고, 최고 7명의 전속작가가 레퍼토리를 공급하면서 매우 많은 공연 대본이 산출된 대표 상업 극장이었다. 하지만 현재 동양극장의 레퍼토리나 공연 대본은 대부분 유실된 상태이다. 그런데 최근 이서구 작 <아들의 심판>의 공연 대본이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들의 심판>의 개요를 소개하고, 작품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공연 대본의 의거하여, 1930년대 동시대 공연작의 무대 디자인을 통해 그 무대적 형상을 논구하였다. 또한, 1930년대에 유행했던 기생 소재 연극의 특징과 비교하여, 내용상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논구하였다. 이 연구는 이후 진행될 <아들의 심판>과, 이서구 작품의 기본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Dong Yang Theater was one of Chosun Dynasty’s most popular concert halls in the 1930s. Since it was a permanent theater for the play, it was a major commercial theater where theatrical plays were on stage all the time, up to seven exclusive writers supplied repertoires, and a large number of scripted performances were produced for. However, most of Dong Yang Th eater’s repertoires and performance scripts are currently missing. Recently, however, a performance script for Lee, Seo-Gu’s <Son’s Judgment> was found, and the research on it became availabl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n overview of <Son’s Judgment> and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work. Based on the discovered performance script, the stage fi gure was argued through the stage design of the same age performance in the 1930s. In addition, the similarities and diff erences in content were discussed, compari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lays on Korean geisha that were popular in the 1930s. Th e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his subsequent works in <Son’s Judgment> and Lee’s works.
1. 서론–연구 목적과 연구사 검토
2. <아들의 심판>의 개요와 분석
3. <아들의 심판>의 무대 배치와 동양극장 공연작 무대 디자인의 관련성
4. 동양극장 ‘기생 연극’의 재현과 그 변화로서의 40년대 레퍼토리
5. 재판극의 변형과 가족 간의 대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