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하천관리를 위한 요소기술의 현황과 특성 분석
Analysis of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Technologies for Smart River Management
- 엄태수(Tae Soo Eum) 신은택(Eun Taek Shin) 송창근(Chang Geun Song)
- 한국방재안전학회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15권 1호
- 2022.03
- 13 - 21 (9 pages)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수자원 관리분야에서도 수문관측 및 해석 등에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을 도입하고 고도화하는데 많은 노력을기울이고 있으나 하천관리 및 운영 분야는 상대적으로 기술 열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에서 발생하는 현상해석과 운영을 위해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를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OC 분야의 스마트 기술 현장화 수준과 하천관리를 위한 요소기술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스마트하천관리를 위한 핵심기술을 도출하고 미래기술의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accordanc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field is also making efforts to introduce and adva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re technologies to hydrological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sectors, but the river management and operation fields are relatively inferior in technology. Although various smart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the analysis and operation of phenomena occurring in riv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ies to effectively apply them in practice. Therefore, in this study, core technologies for smart river management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level of on-site smart technology in the SOC field 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 technologies for river management, and future technologies were suggested.
1. 서론
2. SOC 분야 스마트기술 현장화 수준 분석
3. 하천관리분야 요소기술 분석
4. 하천관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래 하천관리 정책 추진 방향
5. 결론
Acknowledg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