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554.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서양 문화권에서 정서 자극의 각성 수준이 정서가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ousal level on emotion perception in East and West cultures

DOI : 10.37727/jkdas.2022.24.2.887
  • 104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에게 정서를 탐지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사회적 상황에서 표현하고 있는 정서를 탐지하는 방식은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외부 자극을 통해 지각되는 정서 정보를 탐지하는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백인을 대상으로 정서 조건 간의 각성 수준의 차이가 있는 자극과 그렇지 않은 자극을 사용하여 각성가의 통제 여부에 따른 정서 탐지 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미국인들의 경우 부정 사진 탐지를 긍정 사진 탐지에 비해 어려워하였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정서 조건 간 각성 수준이 통제되었던 연구와 비교하여 긍정/부정 조건의 각성 수준이 중립 조건에 비해 높았던 실험 자극을 사용했던 연구에서 더 크게 관찰되었다. 연구 2에서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정서 조건 간 각성이 통제된 조건에서의 정서 탐지 능력과 각성이 통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정서 탐지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2의 결과는 한국인들도 미국인과 유사하게 중립 사진들 사이에서 부정 사진을 탐지하는 것을 어려워함을 보여주었으며, 나아가 한국인의 경우에는 이 효과가 각성의 통제 여부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종합해보면, 미국인들은 정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데 반해, 한국인들은 각성의 통제 여부와 상관없이 일관되게 사진에서 표현된 정서를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서 탐지 과정에서 각성의 영향이 개인이 소속되어 있는 문화적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Emotion perception is an essential skill for humans. However, the cultural background could influence perceiving emotion from a social stimulus(e.g., emotional picture or facial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arousal in emotion perception from the east(e.g., Korean) and west(e.g., Caucasian). In Experiment 1, Caucasian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tect positive or negative emotion while ignoring neutral stimulus. People detect a positive stimulus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a negative stimulus. Also, this effect was varied by whether arousal levels across emotional conditions were controlled or not. Koreans have performed the same task with Caucasians in Experiment 2. Negative detection was slower and less accurate than positive, regardless of arousal differences across emotion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arousal in emotion percep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ultural background.

1. 서론

2. 연구 1

3. 연구 2

5. 종합 논의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