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태양광 이슈에 대한 소셜미디어 게시글과 이용자 댓글 분석
Analysis of Social Media Posts and Readers’ Reply on the Issues of Rural Region Solar Power
- 하지영(Jiyoung Ha) 이승현(Seunghyun Lee) 김덕현(Deokhyeon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4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4
- 683 - 699 (17 pages)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촌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정부 사업에 대한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형성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태양광에 대한 사회적 여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유튜브)에 노출되고 있는 농촌태양광 발전 관련 게시물을 수집(2019.09.~2021.09., 5년간)하였고, 총 512건의 영상과 댓글 9,929건에 대하여 토픽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첫째, 소셜미디어 게시글은 12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이 중 Topic-9(영농형태양광 소개)와 Topic-5(발전시설 허가 주민 반대)의 영상비중이 높았고, 사람들의 관심이 높은 주제는 Topic-2(발전시설 설치 관련 뉴스, 긍정반응)와 Topic-6(영농형태양광 모듈 제조사(중국산), 부정반응)이었다. 둘째, 영상에 대한 이용자의 댓글은 8개의 관심주제로 분류되었다. 이 중 Topic-8(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언급 비중이 높았고, 해당 글들은 Topic-6(태양광 패널의 중금속 환경오염 우려)에 대한 내용을 동시에 언급하고 있었다. 또한, Topic-7(태양광 발전 수익에 대한 언급)도 다소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해당 글들은 Topic-1(영농형태양광에 대한 긍정 의견)에 대한 내용을 함께 언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는 높지만 태양광 설치로 인한 환경파괴를 우려하는 시선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농촌지역 태양광 설치로 인해 환경적 피해사례가 발생할 경우, 정부에 대한 반감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ocialopinion on rural region solar power. Posts related to photovoltaic system in the rural regionexposed on social media (Youtube)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016 and September2021),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512 videos and 9,929 Reply(Social Networking Service commentarial replie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posts insocial media videos, they were classified into 12 topics. Among them, Topic‐9(introduction of agricultural‐type solar power) and Topic‐5 (opposition of residents topermit power generation facilities) had a high proportion of videos. Topics with high publicinterest were Topic‐2 (news related to power plant installation; positive response) andTopic‐6 (Solar sharing module manufacturer (made in China); negative response). Second,as a result of analyzing users’ Reply on the videos, a total of eight topics of interest wereclassified. Among them, Topic‐8 (the government s opinion on renewable energy projects)had a high proportion, and these articles were simultaneously referring to Topic‐6 (concerns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of heavy metals from solar panels). In addition, Topic‐7(referring to solar power generation revenue) also had a high proportion, and these articlesalso mentioned Topic‐1 (positive opinions on agricultural‐type solar power). These resultssuggest that public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s high but that there are many concernsabout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solar power.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자료수집 및 분석설계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