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590.jpg
KCI등재 학술저널

범죄집중 유형 및 그에 따른 범죄예방대책 고찰

A Study on Crime Concentration Types and Crime Prevention Measures

DOI : 10.26470/JCSSED.2021.12.3.165
  • 147

이 연구는 범죄집중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 및 논의를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 연구는 범죄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범죄집중의유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더불어, 범죄예방에서 범죄집중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각각의 범죄집중 유형과 범죄예방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후 국내외 실증연구 및 관련 데이터 검토를 통해 범죄집중이 실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범죄집중 유형에 따른 적절한범죄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시사한다. 첫째, 경찰 또는 자치단체에서 범죄예방대책을 수립할 때 범죄자가 집중된다는 점에 기초한 범죄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즉, 범죄예방정책 수립 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범죄자집중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범죄예방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찰 또는 자치단체에서 범죄예방대책을 수립할 때 범죄장소가 집중된다는 점에 기초한 범죄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즉, 범죄예방정책 수립 시 이 연구에서제시한 범죄장소 집중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범죄예방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경찰 또는 자치단체에서 범죄예방대책을 수립할 때 범죄피해가 집중된다는 점에 기초한 범죄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즉, 범죄예방정책 수립 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범죄피해 집중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범죄예방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and discuss the crime concentration phenomenon. To this end, this study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types of concentration of crimes discovered so far in the field of criminology. In addition, we looked into why crime concentration is important in crime prevention and how each type of crime concentration can be connected with crime prevention. Afterwards, it was confirmed that crime concentration is real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empirical studies and review of related data. Finally, appropriate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presented according to each type of crime concen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policy suggestions. First, when establishing crime prevention measures in the police or local governments,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needed based on the fact that criminals ar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when establishing a crime preven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crime prevention measures to cope with the concentration of criminals presented in this study. Second, when the police or local governments establish crime prevention measures,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needed based on the fact that crime locations are concentrated. In other words, when establishing a crime preven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crime prevention measures to cope with the concentration of crime places suggested in this study. Finally, when the police or local governments establish crime prevention measures, crime prevention measures are needed based on the fact that crime damage is concentrated. In other words, when establishing a crime preven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review various crime prevention measures to cope with the concentration of crime victims presented in this stud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범죄집중의 실재

Ⅳ. 범죄집중에 따른 범죄예방대책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