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ERG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의 욕구체계에 주목하여 근로자의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그리고 종사하는 부문(공공부문, 민간부문, 부문이동 근로자)에 따라 직무만족에 특히 중요하게 작용하는 욕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패널 분위회귀분석 결과, 대부분의 분위에서 공통적으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공통 요인’과 근로자의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그 영향의 유의성이나 크기가 달라지는 ‘단계 요인’이 구분되었다. 공공부문 근로자의 경우 일 내용에 대한 만족(G)과 개인발전에 대한 만족(G)이 공통 요인으로, 후생복지에 대한 만족(E)이 저만족자에게 특히 중요한 단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민간부문 근로자의 경우 공통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고,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R)과 일 내용에 대한 만족(G)이 중・고만족자에게 특히 중요한 단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부문이동 근로자의 경우 보수에 대한 만족(E)과 후생복지에 대한 만족(E),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R), 일 내용에 대한 만족(G)과 개인발전에 대한 만족(G)이 공통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인사공정에 대한 만족(R)은 저만족자에게 특히 중요하게 작용하는 단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욕구 충족이 단계적 속성을 지니는지, 공사 조직 간 구성원 행태에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지 등 오랜 이론적 이슈에 대해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 실천적 측면에서 직무만족 수준 및 영역에 따라 각 욕구의 상대적 중요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근로자의 직무만족이 변동하는 메커니즘을 좀 더 정교하게 포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근로자 맞춤형 직무만족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