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적지가제도에 대량평가 적용 방안 연구
Application of Mass Assessment Model in Official Land Price System of Vietnam: A Review of Utilizing Assessment Method of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System of Korea in Vietnam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8권 제1호
-
2022.04123 - 136 (14 pages)
-
DOI : 10.22988/ksc.2022.38.1.009
- 이용수 19

초록
본 연구는 베트남의 공적지가제도에 대량평가 방식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국의 공시지가 산정방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과 베트남의 공적지가(공시지가)산정에 관한 이론과 법제도를 분석하고, 지가산정 모형개발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준지와 개별지의 격차율이 ±5% 이내인 토지는 39%로, ±15%이내의 토지는 77%으로 전반적으로 산정지가의 균형성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동일한 모형으로 한국 시범지역(강남구 역삼동)에 적용한 결과, 시범대상지 토지의 표준지와 개별지의 격차율이 ±5% 이내인 토지는 약 79%로 나타났으며, ±15%내에는 98%가 분포하여 지가의 균형성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베트남에 토지가격산정 모형은 투입되는 공간정보, 특성 및 가격정보의 정확성과 충분성이 확보되면 전국의 대량평가 기반 공적지가제도 산정체계가 구축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mass assessment model in the Official Land Price System of Vietnam, based on utilizing the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System of South Korea (hereinafter “Korea”). Under this objective, theories,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official land price assessment in Korea and Vietnam were evaluated; and land price assessment model for Vietnam was developed and verified. The study results showed balanced Assessed Land Price. In terms of the price gap between reference lots and individual lots, 39% of lots had less than or equal to plus or minus 5% price gap; and 77% of lots had less than or equal to plus or minus 15% price gap. When the same model was applied in the pilot region (Yeoksam-dong, Gangnam-gu, Seoul) in Korea, the results showed balanced Assessed Land Price as well. In terms of the price gap between reference lots and individual lots, 79% of the lots had less than or equal to plus or minus 5% price gap and 98% of the lots had less than or equal to plus or minus 15% price gap.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Official Land Price System based on mass assessment system could be established nationwide in Vietnam when the accuracy and sufficiency of necessary spatial information, land characteristics and price information is secured.
목차
1. 서론
2. 이론 및 법제도 검토
3. 분석의 틀
4. 실증분석
5.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
- 서울시 혼합주택단지 갈등실태 및 제도 개선방안 연구
-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경계설정 개선 방안
- A Study on Land Price Determining Factors in Ethiopia through AHP Analysis
- 영국 농촌지역 토지 이용 관련 정책에 대한 분석
- 베트남 공적지가제도에 대량평가 적용 방안 연구
-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을 이용한 시대별 양전쟁점 변화분석
- CNN을 이용한 영상기반 토지이용현황조사에 관한 연구
- 군사기지 이전이 주변 공시지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UAV를 이용한 개별불부합지 조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