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을 이용한 시대별 양전쟁점 변화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Yangjeon(Land Surveying) Issues by Perio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 김윤기(Kim, Yun Ki)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38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04
- 61 - 78 (18 page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를 이용하여 시대별 양전쟁점의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4개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연구 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서 양전 사업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던 성종시대, 인조시대 그리고 숙종시대의 양전관련 문서들을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집한 다음 LDA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조선시대에는 10개의 주요양전쟁점이 존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양전시행여부, 수해로 인한 양전정지 그리고 양전척문제가 핵심쟁점들로 부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주요양전쟁점들은 시대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양전쟁점들이 시대별로 어떠한 변화패턴을 보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가 처한 상황들을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Yangjeon(Land Surveying) issues over time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examined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set up four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I collected the Yangjeon documents related to the King Seongjong, the King Injo and the King Sukjong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ducted LDA analysis on them. As a result of the study, I confirmed that there were ten major Yangjeon issues in the Joseon Dynasty. Among them, the request of conducting Yangjeon, the demand for stopping Yangjeon due to flood and choosing correct Yangjeon ruler seemed to be the vital Yangjeon issues in Joseon Dynasty. Also, most major Yangjeon issues have been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To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Yangjeon issues correctly over time, we need to understand the various situations of the times from a systematic point of view.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및 논의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