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599.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62/162599.jpg)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고찰
An Study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 융합교육연구
- 융합교육연구 제8권 제1호
- 2022.03
- 1 - 14 (14 pages)
최근 메타버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새로운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론적 맥락에서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활용 가능성과 내재된 한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메타버스를 다룬 기존 연구들을 정리한 후, 장상호의 교육본위론을 바탕으로 교육공간을 정의하여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의 교육적 가능성으로서 역동적 교육관계의 가능성, 언어에서 체험으로 교육 소재 확장의 가능성, 관습적 교육관이라는 그릇된 교육관 수정의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한편 메타버스의 교육적 한계로서 교육적 시숙의 어려움, 접근성의 문제, 교육적 효과의 경험적 검증 부재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As interest in metaverse has increased recently, the education community has been discussing metaverse as a new educational spac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ossibility and inherent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in theoretical context. After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on metavers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metaverse as an educational space are presented by defining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Jang Sang-ho s educational-centered theor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sibility of dynamic educational relationship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educational materials from language to experience, and the possibility of correcting the wrong view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etaverse include the difficulty of educational trial, accessibility, and lack of empirical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Ⅰ. 서론
Ⅱ. 메타버스의 개념
Ⅲ. 교육공간의 개념
Ⅳ. 교육공간으로서 메타버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