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01.jpg
KCI등재 학술저널

위생 독재 체제에 대한 독일 사회의 경고

팬데믹 시기 율리 체의 ‘어떤 소송’이 주는 시사점

  • 6

『어떤 소송』은 21세기 중반의 미래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이 미래 사회 는 건강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생명체로서의 인간이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들을 정착시켰으며, 사람들이 건강을 위한 노력을 실천하는지 감시한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율리 체의 『어떤 소송』의 내용 분석과 등장 인물 들을 통해 독일사회에 위생독재체제에 대해 보내는 경고의 메시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독일은 주지하다시피 제국주의 시대와 양차대전, 나치의 대두 를 통해 인종주의, 우생학, 반유태주의를 겪은 바 있다. 또한 독일은 통일 이후 유럽 사회에서 난민 문제 등을 통해, 국가 권력과 개인의 인권 사이에 문제 제기를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다. 율리 체의 『어떤 소송』에서 나타 난 위생독재체제에 대한 독일 사회의 인식을 통해 코로나 19- 팬데믹이라는 현실 속에 독일의 지성과 대중의 인식이 어떠한 방향으로 움직이는가를 고찰해볼것이다. 이는 일제강점기 및 현대사 속에서 군사 정권 및 신군부 체제라는 역사를 경험한 한국 사회 및 팬데믹 상황에서 국민의 건강 문제 와 개인의 자유 문제를 양립시켜야 하는 오늘날의 시대 상황에 시의적절한 문제제기를 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가 역사와 문학의 융복합적 접근과 연구 및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를 통한 역사 연구의 외연 확 장과 ‘팬데믹 상황 속 위생독재체제 비판’의 역사적.문학적 고찰이라고 하는 장을 여는데 일조할 것이다.

As Germany is well known, racism, eugenics, and anti-Semitism through the era of imperialism, the Western War, and the rise of the Nazis. In addition, Germany has a problem between state power and individual human rights through refugee issues in European society after reunification. Germany s intelligence and the public in the reality of COVID-19 Pandemic through German society s perception of the sanitary dictatorship system. This is Korean society and Pandemic that experienced the history of military regime and new military government 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dern history. In this study, the convergent approach of history and literature, and the extension of historical research through research, storytelling, and narrative.

Ⅰ. 머리말

Ⅱ. 작품 속 ‘방법’ 체제 지지자들의 견해를 통한 위생 독재체제의 특징

Ⅲ. ‘방법’ 체제 반대자들의 견해와 위생 독재 체제의 문제점

Ⅳ.위생 독재 체제에 대한 독일 사회의 경고

Ⅴ. 맺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