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02.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학교 지적 및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학급차원의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assroom-level structured teaching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special school

DOI : 10.33729/kapa.2022.1.105
  • 810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지적 및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학급차원의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을 위해 구조화 교수 관련 선행연구와 특수교사 대상의 구조화 교수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조사를 통해 구조화교수 프로그램의 영역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영역별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수립하였다. 개발된 학급차원의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H 특수학교 고등학교 1학년 지적 및 자폐성장애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학생들의 수업참여 행동 및 학업 수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지적 및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학급차원의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은 공간적 지원, 시간적 지원, 절차적 지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공간적 지원 영역의 구성요소는 물리적(교실) 공간의 구조화와 공간 내 감각자극 조절, 시간적 지원 영역의 구성요소는 시간의 구조 확립, 절차적 지원 영역의 구성요소는 구조화된 활동체계 제공, 구조화 교수 제공, 참여촉진, 교육과정 재구성이었다. 각 각 영역의 구성요소별로 세부요소에 따른 구체적인 지원계획이 개발되었다. 둘째, 학급차원의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대상 학생들의 과제수행 및 착석 행동의 향상이 나타났고 학업 수행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구조화 교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a classroom-level structured teach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special school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nvestigate its effec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reas and components of the structured teaching program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ructured teaching research and an importance-execution survey on structured teaching for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o establish specific support plans for each area. The classroom-level structured teaching program was applied to one class of first-yea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t a special high school in Gyeonggi-do. The changes in their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level structured teaching program for these students in special schools comprised three areas: spatial support, temporal support, and procedural support. The components of the spatial support area are the structuring and regulation of sensory stimuli of the physical space (classroom), while the components of the temporal support area are the establishment of time structure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a structured activity system and instructions, the promotion of participa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 detailed support plan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pecific elements for each component mentioned above.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structured teaching program at the classroom level improved the task performance and sitting behavior of the target students, while positive changes were seen in their academic performanc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tructured teaching programs are discuss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