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2.jpg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어의 형성과 계통에 대하여

The formation and genealogy of Paekche language

  • 59

한국어의 계통이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는 기존의 학설은 비교언어학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론을 많이 결여하고 있어서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어의 형성에 증언하는 중국 사서들의 기록에는 과거 부여계와 한계의 언어가 상호 어떠한가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남북의 언어에 대한 계통을 밝히는 데 어려움이 있다. 사서의 자료를 올바로 해석하는 언급이 없으며, 남북의 언어에 대한 계통을 밝히는 데 어려움이 있다. 사서의 자료를 올바로 해석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수사 3, 5, 7, 10에 해당하는 고구려의 지명어 자료가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발견되어 일본인 학자 新村出(1916)에 의해 수사체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발표된 이후 이는 고구려와 원시 일본어가 친근관계에 있는 동계어라는 주장으로 발전하였다. 삼국의 언어를 반영하는 지명자료들을 좀더 과학적으로 고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의 내용을 좀더 입체적으로 해석하면 고대 한반도 중부지역어를 대변하는 권37이 제공하는 많은 고유어 지명어들은 결코 고구려어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백제어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백제어 연구의 방법론과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된다고 하겠다. 제한된 언어자료이기는 하나 이를 가지고 좀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백제어의 실체를 밝혀 냄으로써 우리는 국어사를 좀더 굳건한 반석 위에 올려놓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한일 고대사의 풀리지 않은 많은 역사적 실체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We have to attempt to illustrate the genealogy of the Krean language with good comparative lingustic methodologies an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the Paekche language steadily. We cannot find any reference about language differences of ancient North and South tribes in the historical data of ancient China, which gives a hard time to study the genealogy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very inportant, therefore, to interpret historical data accurately. As you know, there are some data about a numerical data (e.g., three, five seven, and the)which is derived from the place names found in the Geographical Section of Chronicles of Three Kingdoms (Samguksagi). Dr. Shinmura(1916) who is Japanese lignuist, argues that these data were from the Goguryeo language that the ancient Jpapanese language has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Goguryeo language. Though his argument has been taken for granted so long, I think that it in not the case. It is a historical fact that in early and mid periods of Paekche,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did not belong to Gogurygo, but Paekche. Now I argue that the numerical system came from the Paekche language, not the Gogurygo language. Despit not many references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we have to study the acient language data with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Ⅰ. 서론

Ⅱ. 국어의 일반적인 계통 이론

Ⅲ. 국어의 형성에 대하여

Ⅳ. 백제어의 형성과 계통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