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重口緣土器는 독특한 형태의 토기로 百濟土器의 한 기종으로 파악되어왔다. 최근 그 출토예가 증가함에 따라 이중구연이라는 요소는 여러 기종에서 나타나는 양식으로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 출토된 이중구연토기를 통해 이 지역의 문화상에 접근하고자 이중구연토기를 기종, 저부와 동체의 형태에 따라 9가지의 형식으로 분류하고 그 시기적·지역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재까지 자료로 보아 이중구연토기는 다양한 성격의 분묘와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데 주로 外反口緣平底壺가 분포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토광묘계의 무덤과 주거지들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중구연토기는 외반구연토기에 이중구연이라는 요소가 채용되면서 만들어지게 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형식적으로는 외반구연평저호와 유사한 평저의 이중구연호가 먼저 나타나고 점차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원저단경호, 장란형토기 등의 옹에 그 요소가 채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출현 시기는 3세기 중엽경으로 추정된다. 이중구연토기는 형태와 세부속성에서 지역적·시기적인 차이를 보인다. 초출지역으로 추정되는 호남지역에서는 다양한 형식들이 보이지만 충청과 서울지역에서는 원저단경호의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3∼4세기대에 집중되어 나타나는데 호남지역에서는 소수이지만 6세기대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분묘와 주거지에서의 출토 빈도가 모두 높은 호남지역에서 이중구연토기를 포함한 토기문화는 3∼4세기대의 대형고분, 대규모 취락과 관련이 깊다고 판단된다. 또한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한강유역의 기층문화, 금강중·하루지역의 3∼4세기대 문화상과도 어느정도 통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중구연토기는 지역적·시기적으로 보아 馬韓이라는 정치체와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그 관련문화는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에서 가장 성행하였고 늦게까지 존속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Pottery with two-fold mouth(二重口緣土器) has been understood as a type of Packche pottery. As can be see in the recent researches, the element of two-fold mouth is a style which can be found in several types of pottery and has been distributed mainly over the sou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aims at approaching the cultural aspect of the central and southwest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pottery with two-fold mouth that was excavated in these areas. This pottery was classified by nine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bottom and body, and the aspects of time and region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classifed forms. Pottery with two-fold mouth has been excavated centering around the area where pots with flat bottom and externally-curved mouth(外反口緣平底壺) are spread and the former is thought to have at first come into being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lement of the two-fold mouth to the latter. This element is believed to have appeared adopted by other kinds of potteries.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excavational aspects of pottery with two-fold mouth. While there exist only mionor forms in Chung-cheng and Seoul area, Honam area where the pottery is believed to hav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boasts of various forms. They are being discovered usually in the relics that trace back to the third∼fourth century. Some of those found in Honam area, however, were used even till the sixth century. In Honam area, in particular, this pottery is being found often in tombs and settlements. The pottery culture including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in this area is believ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burials with large mounds and large-scale villages of the third∼fourth century. Besides, this culture seems to be connected with fundamental culture of Han river basin centering around Seoul and the cultural aspects that flowered in the middle and low region of Kum river in the third∼fourth century. Consequently, from the viewpoints of time and region, the pottery with two-fold mouth can be thought to be related with the Mahan(馬韓) and prevalent in the region of Youngsan river and last for a considerably long period.
Ⅰ. 머리말
Ⅱ. 이중구연토기의 형식분류
Ⅲ. 이중구연토기의 형식들간의 관계
Ⅳ. 이중구연토기의 지역별 특징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