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4.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 二層基壇 築造術의 日本 飛鳥寺 傳播

The diffusion of the two storied platform technique of Paekche into Askadera (飛鳥寺) of Japan

백제는 戚德王 35년(588 일본 崇嶢天皇 元年) 3월 寺工 太良末太·文賈吉子를 瓦博士, 露盤傳士, 畵工 등과 함께 일본에 파견하였다. 이는 당시 야마토 朝廷의 실권자였던 蘇我馬子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 이 같은 백제의 전문 장인집단 파견으로 인해 일본은 최초의 사찰인 飛鳥寺를 창건하게 되었다. 본고는 일본에 파견된 백제의 전문 匠人集團 중 造寺工에만 초점을 맞추어 이들에 의해 일본으로 건너간 瓦建物址의 二層基壇을 검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층기단은 일찍이 고구려의 定陵寺址에 축조된 이후 백제와 신라의 堂培에 주로 사용되었다. 특히 정릉사지 金堂址의 下層基壇 상면에 놓여진 磯石例(遮陽間이나 浪間의 礎石으로 추정)은 백제의 定林寺址나 금성산 建物址를 비롯한 신라의 皇龍寺址(最終伽藍) 금당지와 일본 飛鳥寺의 東·西 금당지 둥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상호 有關함을 보여주고 있다. 백제에서의 이층기단은 泗批都邑期의 堂塔에서만 주로 조사되었다. 즉, 정림사지의 금당지와 五層石塔, 陵山里廢寺址의 금당지와 木塔址, 금성산 건물지, 扶蘇山폐寺址, 금당지, 金剛寺址 목탑지, 凞勳寺址 東·中·西院 금당지와 彌勒寺址 석탑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층기단은 건물의 장엄성 뿐만 아니라 상징적 의미 또한 내포한 건축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백제의 이층기단은 변화·발전을 거듭하던 중 588년 일본에 전파되어 飛鳥寺의 동·서금당에 축조되었다. 특히 柬金堂址 下層基檀 上面에서 확인된 1조의 石列은 능산리폐사지 금당지에서만 조사되었기 때문에 양자의 친연성 뿐만 아니라 축조기법이나 造營主體(造寺工)의 전파를 확인케 하는 자료가 되고 있다. 따라 <원본누락>

Paekdie sent a group of artists such as architects(named (太良末太, 文買吉子), casters of roof tile, and painters to Jean in 588(35th year of King, Widuk) becmm of the request by Soarnaja(蘇我馬子)whohad the real power of Yamato government This dispatch of artisans group made it possible to be build the first temple, Aslradera(飛鳥寺) in Japan.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architects who delivered the technique of the two storied platform of wooden buildings. The earliest two storied platform was founded in Jongiung temple sites(定陵寺址) of Koguryo Kingdom and this were appeared the stupas and the wooden buildings of Paekche and Shilla Kingdom later. The row of base stones on the top of the tower platform(assumed these as the base stones for quadrangular aisle attached) of main hall of Jangung temple sites(定陵寺址), can be found in Jongrim tale sites(定林寺址) of Paekche Kingdom and Hvuanrong Temple sites(皇龍寺址) of Shilla Kingdom. According to the previous rich, the two storied platform of Paekche Kingdom mainly appears in the temples of the period when set up the capital at Sabi(사비도읍기), such as in the site of main hall and the five storied stupa of Jongrim temple sites(定林寺址), the site of main hall and the wooden stupor of Noonsanri temple sites(陵山里廢寺址) the building sites of Keumsungsan, the site of main hall of Busosan temple sites(扶蘇山廢寺址), the site of wooding stupor of Keumgang temple sites(金剛寺址), and the site of the east, centeral, and west main hall, and the stone stupor of Miruk temple sites(彌勒寺址). Therefore, I believe two storied platform contains the wrongful symbol and shows the dignity of building. The technique of the two storied platform of Paelcche Kingdom had developed over tunes, and delivered into Aslcadera(飛鳥寺) in Japan. Specially, the similar style of a row of base stone on the top of the lower platform of the east main hall of Askadera is found in the site of main hall of Noonsanri temple sites(陵山里廢寺址). This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temples and can be the evidence of the diffusion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 from Paekche Kingdom to Japan.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previous theories to trace the origin of the two storied platform of Askadera from Keumgang temple sites(金剛寺址) of Koguryo Kingdom, should be re - considered.

Ⅰ. 머리말

Ⅱ. 百濟 二層基壇의 遺蹟事例 檢討

Ⅲ. 百濟 二層基壇의 造營的 特徵과 變遷

Ⅳ. 百濟 二層基壇 築造術의 飛鳥寺 傳播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