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6.jpg
KCI등재 학술저널

韓半島 出土 須惠器(系) 土器에 대하여

On the Sueki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 5

삼국시대에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倭系遺物은 4세기~5세기 전반 및 5세기 후반~6세기 전반이라는 큰 두개의 주기로 나누어진다. 여기서는 후자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보이는 須惠器 출토유적과 분포 및 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유적은 고분을 중심으로 출토됨을 알 수 있었고, 분포는 全羅道·忠淸道地域을 중심으로 하는데, 慶尙道·京畿道地域에서도 출토가 확인되었다. 시기적으로는 陶邑編年으로 TK23 형식부터 TK10 형식 사이에 한정되며, 蓋杯·高杯·有孔廣口小壺를 비롯하여 자라병 등 의례용 기종이 중심을 이룬다. 이들 토기를 관찰한 결과, 형태나 제작기법으로 보아 분명히 須惠器로 판단할 수 있는 것과 須惠器를 모방한 것으로 추정되는 두 가지 자료가 존재하는 것도 밝혀졌다. 이들 토기의 분포를 보면, 경상도지역에는 일본열도에서의 반입품이 많은데 비해 전라도·충청도지역에는 소위 모방토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모방토기로서 扶安 竹幕洞遺蹟 출토 자라병이나 淸州 新鳳河古墳郡 출토 개배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방토기 가운데서도 극히 충실하게 모방한 것과 형태만을 모방한 것 등 모방 정도에도 차이가 있음도 밝혀졌다. 모방토기로 분류한 토기군의 분포가 같은 시기의 前方後圓墳의 분포와 겹치는 점은 극히 시사적이다.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전반은 일본열도에서도 陶邑 외에서 수십 군데의 地方窯가 만들어지는 시기에 해당된다. 須惠器는 지역적 특색이 많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한반도 출토 須惠器가 어느 가마의 제품인지를 확정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앞으로의 과제이다. 모방토기의 한 예로 분류한 有孔장군은 최근의 조사에 의해 한반도에서 몇몇 사례가 알려지고 있다. 형식적으로 보아 일본열도 출토품보다 시기가 늦은 것으로 생각되며, 출토 사례가 적은 것과 더불어 기형이 역수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한반도 출토 須惠器 및 須惠器 모방토기는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한일교류의 궤적을 찾는데 있어 극히 중요한 자료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ueki (Japanese stoneware) yielding sites and their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A chronological examination of the Japanese artifacts uncover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provides two phases, the one of the fourth to early fifth centuries, and the other of the late fifth to early sixth centuries AD. Most sites yielding sueki are burials distributed in the Jeolla and Chuncheong regions, while small number of sites are located in Gyeongsang and Gyeonggi areas. Vessel types include cup with cap, mounted dish and small jar with hole, and they are dated to the period between TK23 and TK10 types in Japan. A close examination of the artifacts reveals two patterns: one can be identified as sueki, that is an imported Japanese artifact, and the other is the stoneware imitation. Many specimens found in the Gyeongsang area are those directly imported from Japan, while Jeolla and Chungcheong area collections contain many imitated artifacts as exemplified by the bottle from Jukmak-dong and cups from sinbong-dong. furthermore, aside from the differences in degree of imitation, the distribution of imitated artifacts matches that of key-hole shaped tombs in the Peninsula. Therefore, the sueki collections may provide a clue to the reg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Japan during the late fifth and early sixth centuries. However, we need more data and further examination to draw specific socio-political intera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given the few regional differences in terms of manufacturing techniques thus far known for sueki types in Japan.

Ⅰ. 머리말

Ⅱ. 韓半島 出土 須惠器(系) 土器

Ⅲ. 須惠器 模倣土器에 대하여

Ⅳ. 有孔장군에 대하여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