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7.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 사비기의 陶硯

A Study on a Clayware Inkstone of Sabi Period, Paekche

  • 83

본고에서는 백제 유적에서 출토되는 벼루에 대한 형태분류와 편년 등 기초적인 작업을 토대로 벼루의 등장이 나타내는 시대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제에서 벼루 사용의 시작은 한성기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으나,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본격적으로 보급된 시기는 사비기에 이르러 각종 정치제도가 정비되면서부터이다. 다른 기종의 파편 등을 이용한 轉用硯의 존재는 부정할 수 없으나, 專用硯으로서 생산된 벼루의 각 형태는 중국제품을 충실하게 모방한 것이 많아 紀年銘이 있는 중국의 분묘 출토품이나 일본 자료와 대비함으로써 백제 벼루의 대체적인 연대를 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백제에서 자체적으로 벼루를 생산하고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이 7세기대보다 올라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 공반관계로부터 다른 기종의 토기편년에 하나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종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이 백제 벼루의 제작은 중국의 영향으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배경에는 단순한 물질문화의 수용 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 정세에 맞추어 文書行政을 기초로 한 선진적인 통치제도를 도입하려고 했던 백제 지배층의 의도가 반영되고 있다.

In this paper, considered the background what appearance of inkstones at Paekche kingdom means, based on classification of shapes and a chronology. Though inkstones seem to begin to use since Paekche s Hanseon(漢城) period in Paekche, regular production and popularization has started as Sabi(泗??) period as various political systems have been in order. Various shape of inkstones, producted as exclusive one itself, have been followed an example of Chinese one faithfully, so it seems to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chronology of Paekche s inkstone, comparing with materials of China, found from tombs with an epitaph informing date of burying, and materials of Japa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Paekche s inkstones have began to be produced and used after early 7th century at least. And it is noticed as the variable kind of earthenware offering a basis of the other kind of Paekche pottery s chronology. The background of the beginning of producing inkstone at Paekche, contained a intention of Paekche s ruling class, trying to adopt a advanced ruling systems of China based on documental ruling.

Ⅰ. 머리말

Ⅱ. 百濟 陶硯의 變遷과 形式

Ⅲ. 百濟 陶硯의 編年

Ⅳ. 陶硯으로 본 泗비期의 政治와 社會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