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7.jpg
KCI등재 학술저널

漢城期 百濟 기와의 製作傳統과 發展의 劃期

Roof Til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Chronology in the Hanseong Baekje Period

기와는 건축학·미술사적 의미만이 아니라 왕족 등 지배계급의 존재양태, 불교의 보급정도, 官可制의 정착 등과 연결되어 고대국가의 발전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 척도이다. 백제지역에서 造瓦의 시작은 3세기 대로 소급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것이 곧 造瓦體系의 정비와 본격적인 瓦家의 출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 造瓦術의 전통은 단일하지 않고 혼잡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 중에는 낙랑계 造瓦術의 영향이 일정 부분 확인된다. 이러한 추론은 기와의 제작기법이나 와당의 문양에서 뒷받침된다. 한성기 와당문양의 대세는 四區劃文이었으며 연화문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을 것이다. 통쪽와통을 이용한 점토띠성형, 배면 격자타날문과 내린 포목흔의 잔존, 數回 정면한 측면 등을 특징으로 한 암키와가 4-5세기 대의 主流瓦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치만 제작전통의 상이함만큼이나 지역적 변이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한성기 와전문화의 발전과정에서 또 한차례의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은 남조의 瓦??文化로 예측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미지수이다.

Ancient roof til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social status of the elite, spread of Buddhism,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the early state. The manufacture of the roof tiles in Baekje may be dated to the third century AD, but this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with roof tiles. Various artifacts suggest multiple sources of the roof tile making tradition, among which the influence derived from the Lelang commandery could be recognized based on the techniques and roof-end designs. During the Hanseong Period, the major design motif on the roof-end was based on the four divisions, while the lotus flower design was yet to appear. Although another source of influence on the Hanseong Baekje roof tile manufacture were likely derived from the southern China, but up until now specifics are not known.

Ⅰ. 머리말

Ⅱ. 漢城期 평기와에 대한 관찰

Ⅲ. 漢城期 造瓦述의 계통

Ⅳ. 造瓦의 開始와 發展의 劃期

Ⅴ. 나머지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