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38.jpg
KCI등재 학술저널

仇台의 백제건국기사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ation on the record of Paekche s establishment by Kutae

唐初부터 北宋代까지 중국문헌에 보이는 仇台의 百濟建國記事를 종합하고, 이를 통하여 백제 건국상의 논점을 재검토한 것이다. 첫째, 仇台관련 기록은 636년 편찬된 周書와 隋書에 처음 보이고, 이에 기초한 내용이 明淸代까지 지속된다. 南宋이후 기록은 사료적 가치가 없으나, 北宋代까지의 사료에는 百濟의 所傳이 반영된 내용이 나타난다. 둘째, 구태관련 사료는 唐初에 편찬된 ①기의 자료와 9세기이후 ②기 사료 사이에는 차이가 나타난다. ①기는 6세기 후반이나 7세기 초에 수집된 자료에 기초하여 있으며, ②기의 기록은 7세기 후반 백제멸망기와 그 이후의 傳聞을 자료로 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①기, ②기의 차이와 별도로 백제를 건국한 구태의 계보는 일관된 갈래가 있다. 곧 부여계로 보는 周書-通典계열과, 고구려로 인식하는 隋書-唐會要 계열로 구분된다. 특히 수서-당회요의 건국 전승은 삼국사기 온조전승과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당회요는 仇台를 高仇台로 표기하면서 고구려 기원을 한층 강조하였다. 隋書에는 구태로부터 10여대를 거쳐서 백제왕이 대대로 중국과 통교하였다는데, 이는 적어도 삼국사기의 百濟王系가 7세기 초에는 어느 정도 정리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넷째, 구태가 백제를 세웠다는 帶方故地는 당시의 백제 영역을 의미할 뿐 公孫氏가 세우고 魏晋代에 지속된 帶方郡이나, 그 이전 樂浪郡 帶方縣과는 무관한 존재로 여겨진다. 六朝이래 백제는 옛 馬韓의 땅에 자리하였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帶方故地는 이미 지적된 대로 6세기 후반 北齊이래 唐代까지 백제를 帶方, 신라를 樂浪, 고구려를 遼東으로 이해하던 인식에 따른 표현에 다름 아니다. 다섯째, 구태가 백제를 건국한 시기는 公孫度와의 결혼 기사로 미루어 後漢末로 여겨진다. 구태와 공손도의 女와의 결혼에 대하여는 三國志에 부여왕 위구태의 결혼 기사를 잘못 옮긴 때문으로 보아 왔다. 그러나 검토 결과 위구태가 백제를 건국했다는 표현은 어디에도 없었으며, 오히려 수서와 통전의 찬자는 위구태로 표현할 경우 모순을 익히 알고 있었다고 보인다. 단정하기 어렵지만 후한말에 공손도 시기에 백제가 건국되었다는 인식은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여섯째, 구태 기록에는 건국 이후 東夷强國이 되었고 이후 馬韓의 諸小國을 병합하였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이 기록은 본래 梁書 百濟傳에 마한의 일원이던 백제가 後漢彊大 兼諸小國 했다는 기록이 수서와 통전의 仇台 기록에 포함된 것이다. 대부분의 마한 倂吞은 遼西 直郡을 전후하여 기록되어 있으므로, 그 시기를 명시한 自晉以後 는 실제 東晉이후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have reviewed the record of Paekche s(百濟) establishment by Kutae(仇台) in Chinese history. First period records are those written between 660 and 629 that is Juseo(周書)·Suseo(隋書)·Juseo emphasizes the origin of Buyeo(夫餘) whereas Suseo points out the origin of Koguryo(高句麗), as quotation data of Juseo and Suseo were different. This Juseo record also shows that Kutae(仇台) and Oncho s(溫祚) transmission were same and the royal lineage of Paekche s(百濟) in Samkusaki(三國史記) was completed in 7th century. Second period records are those of Tongjon(通典) written between 766 and 1013 that of Chekbuwongu.(冊府元龜) They refer history between in the late of Tang(唐) and Buksong(北宋) period but related data base is based on the records after Paekche s disappearance in the middle of 7th century. there are some records which defined Kutae as Wikutae(尉仇台), the king of Buyeo and the record of the Dangwheyeo(唐會要) which emphasizes the origin of Koguryo by inscribing Kutae as Wikutae. Third period records are those from Jachitongcam(資治通鑑) written in 1084 to Mynhyontonggo(文獻通考) published in 1317 which are related to Namsong(南宋) peorid. The founder of Paekche was mentioned as Kutae in chinese record. The transmission of it is very much alike with the one of Oncho shown in Samkusaki(三國史記). The area of Mahan(馬韓) was considered as the place of Paekche s establishment since Wijin(魏晋). The record to consider this to be the ancient place of Deabang(帶方) and recognition of still considering it to be the one of Mahan were compatible during first period. Recognition of the place of Mahan occupied the mainstream since tongjon in second period Deabang is thought of as the irrelevant with Deabang Province(帶方郡) which Kongshonsi(公孫氏) built and also irrelevant with the former of Deabang in Lolang Province(樂浪郡). Deabang means the domain of Paekche at that time. Paekche was founded during the late Han(漢) period and developed through Paekajehae(百家濟海) and gradually rose as one of Eastern countries by grasping Han(韓) according to Kutae. This implies that the immigration towards Paekche and the conquest of around countries achieved in 4th century.

Ⅰ. 머리말

Ⅱ. 관련 사료의 정리

Ⅲ. 관련 사료의 검토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