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복합기법을 도입한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의 범위와 개념의 확장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프리트(Frit)를 활용한 글라스 퓨징(Glass Fusing)기법 중심의 복합기법이 적용된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빛의 회화적 표현의 가능성을 고찰했다. 또한 스테인드글라스의 회화적 표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 적용 범위를 교회건축에서 더욱 확장해 일반건축에까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도입부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후의 유럽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의 새로운 흐름을 제시하며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의 개념 변화를 고찰했다. 그리고 본 연구자의 작품 성향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으며, 프리트를 이용한 글라스 퓨징기법 중심의 복합기법을 회화적으로 건축에 적용한 유럽의 작가 우도 젬복(Udo Zembok, 1951-)과 티에리 부아셀(Thierry Boissel, 1962-)의 작품 사례를 연구했다. 또한 그 흐름이 이어져 새로운 국면을 맞은 국내 스테인드글라스 경향을 연구하고, 회화적 경향이 강조된 본 연구자의 복합기법 스테인드글라스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회화적 표현을 기반으로 한 복합기법이 적용된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빛의 회화’를 구현하고 건축적 예술로 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심화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바라며, 한국 현대 스테인드글라스의 다채로운 발전을 기대해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xpandability of the scope and concept of modern stained glass with composite techniques. The possibility of pictorial expression of light was examined through stained glass with a glass fusing technique centered on a glass fusing technique using Frit. In addition, based on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ictorial expression of stained glass, it was confirmed that the scope of its application was further expanded from church architecture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to general architecture.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modern stained glass by presenting a new trend of modern stained glass in Europe before and after World War II. In addition, this researcher s work tendency was greatly influenced, and examples of works by European artists Udo Zembok (1951-) and Thierry Boissel (1962-), who applied a composite technique centered on glass fusing technique using frit to architecture were studied. In addition, the trend continued to study the trend of domestic stained glass in a new phase and looked at the composites technique stained glass that emphasized the trend of this researcher s painting work. Finally, it was intend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light painting through stained glass to which a composite technique based on pictorial expression is applied and introducing it as part of architectural art. We hope that further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and we hope that Korea s modern stained glass can develop more diversely.
Ⅰ. 서 론
Ⅱ. 확장된 개념의 스테인드글라스
Ⅲ. 회화적 표현이 강조된 복합기법 연구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