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22.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선시대 17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서체특징과 서예사적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tyle and Significance of Calligraphy History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 in the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22

이 논문은 15세기에 한글이 창제된 이후 20세기 초까지 약 5세기 동안 한글 서체의 변천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에 나타난 다양한 한글 서체를 정리하고자 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17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의 특징과 서예사적 의의 및 그 이월적(移越的) 가치를 천명(闡明)하기 위하여 집필된 것이다. 본고의 텍스트는 17세기 중앙관서(교서관, 간경도감)과 지방관아, 불교사찰 등에서 간행한 한글 문헌 가운데 그 문헌적 가치가 객관적으로 입증된 40여종의 한글 간본문헌으로 한정하였다. 이 문헌들은 주로 풍속교화, 교육, 의료, 교리 등과 관련된 내용의 문헌인데 수록내용과 간행기관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판형, 글자의 크기 등이 각각 달랐고, 배행 배자방식 등도 자형 결정에 일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서체의 측면에서 볼 때 중앙간본의 한글 서체와 지방간본의 한글 서체는 괄목할만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중앙간본이 17세기 초반까지 15세기 한글 간본문헌의 정제된 서체를 견지한 데 비해, 17세기의 지방 간본문헌들에 실린 한글 서체는 동시대 중앙 간본문헌의 그것과는 다른 변화된 한글 서체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세기까지 굳건히 지켜지던 해례본류의 자형은 17세기에 이르면 자형의 방향과 굵기가 확연히 달라지며, 중앙간본보다는 지방간본의 변모가 더 크다. 둘째, ‘ㅇ’의 기필부분이나 종성에서 ‘ㆁ(옛이응)’처럼 꼭지가 보이는 등 ‘ㅇ’과 꼭지 ㆁ(옛이응)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셋째,『연병지남』에서부터 ‘ㅈ’은 3획에서 2획으로 변모하기 시작하였고, ‘ㅌ’은 ‘ㅡ’와 ‘ㄷ’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등 훈민정음 당시의 자형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문헌의 내용에서 볼 때, 경서류, 의서류, 교육류 문헌의 서체는 서체변화가 그리 크지 않으나, 지방에서 간행된 불서류, 병서류 등은 개성과 독창성이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17세기 한글 간본문헌 서체에 드러나는 이러한 특성은 이후 전개되는 다양한 한글 서체의 등장에 큰 영향을 준 동인(動因)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서예사적으로 볼 때 이 시기는 한글이 획일적이고 단순한 자형에서 벗어나 개성적이고 창조적인 예술적 표현의 대상이 되어가는 필사본에 비해 간본문헌은 지방간본에서 더 다양한 형태의 변모를 감지할 수 있었으며, 중앙간본은 변화의 폭이 미미하였다. 본고에서는 간본문헌만을 연구자료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이 시기 필사자료에 드러나는 폭넓은 서체의 변화양상과 그 예술성에 대하여 깊이 검토하지 못하였다. 서지학, 국어학, 불교철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계는 물론 이 시기 필사문헌의 서예사적 가치를 탐색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 tried to figure out the transition process of Hangeul calligraphic styles from the Hangeul creation in the 1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o organize various Hangeul calligraphic style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 and significance of calligraphy history of the published Hangeul document in the 17th century. The research data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40 kinds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whose literary value was objectively proven among the Hangeul documents published by central government offices (Gyoseogwan, Gangyeongdogam), local government offices, and Buddhist temples in the 17th century. These documents are mainly related to custom reformation, education, medical care, and doctrine.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and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publisher, the format and the letter sizes were changed. The way lines and letters are arranged also influenced in determining the shape of letters. In terms of calligraphic styles,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editions and the local government office editions.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editions had maintained the refined calligraphic styles in Hangeul documents of the 15th century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By the way, the local government office editions had changed their calligraphic styles since the end of the 16th century. Its significant features are as below: First, the shape of letters in Hunminjeongeum Haerye, which was firmly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15th century, began to show signs of change in some documents from the 16th century, and the direction and thickness of strokes changed in the 17th century.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the beginning part of ‘ieung(ㅇ)’. In some cases, ‘ieung(ㅇ)’ has a tap like ‘old ieung(ㆁ)’ in the final consonant, so ‘ieung(ㅇ)’ and ‘old ieung(ㆁ)’ with a tap are mixed. Third, since 『Yeonbyeongjinam』, ‘jieut(ㅈ)’ was not written with three strokes but changed to two strokes, and ‘tieut(ㅌ)’ was written with ‘eu(ㅡ)’ and ‘digeut(ㄷ)’,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letters in Hunminjeongeum. Fourth,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the calligraphic styles of Confucian scriptures, medical books, and educational documents did not change much, but those of locally published Buddhist documents and military documents showed their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calligraphic styles of published Hangeul documents in the 17th century would have acted as a driving force that greatly influenced the appearance of various Hangeul calligraphic styles. From the point of view of calligraphy history, this period w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Hangeul to become an object of individual and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beyond the uniform and simple letter shape. In this study, since I only used the published documents as research data, it was difficult to examine the wide range of calligraphic style changes and its artistry in the manuscripts of this period. Thus, it is necessary to link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bibliography, Korean linguistics, Buddhist philosophy, and medicine and explore the calligraphy historical value of manuscripts of this period.

Ⅰ. 서론

Ⅱ. 검토 대상 문헌 해제

Ⅲ. 자모음의 조형 양상 분석

Ⅳ. 17세기 간본문헌 문자의 조형미 변화 양상

Ⅴ. 문헌의 내용별 서체 특징 비교

Ⅵ.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