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24.jpg
KCI등재 학술저널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

교통과 젠더의 측면에서

  • 16

본고는 한국 여성 최초로 1년 8개월 간 서구 국가를 여행했던 나혜석의 구미여행기를 모빌리티 이론과 접목하여, 나혜석 여행기의 텍스트와 그의 풍경화 속 재현공간을 대상으로 다음의 내용을 분석·검토하였다. 첫째, 교통수단과 경계적 감각의 모빌리티로서, 특히 기차와 기선을 통한 서구적 문물 체험과 역과 객실 등 사이공간에서의 경험은 기동 관람 시각을 통해 경관을 묘사하고 있으며, 국경 경유시의 경험은 지역적 차이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경험과 일상을 통한 젠더 모빌리티로서, 나혜석은 구미여행을 통해 도시의 낭만적 연애와 자유로운 여성의 삶을 경험하고 젠더에 대한 자각과 함께 젠더적 모빌리티를 형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빌리티 경험이 반영된 나혜석의 풍경화를 통해 스페인, 파리 등 재현공간이 주는 의미를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변모시키는 동인으로서 해석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review the followings based on Na Hye-seok’s ‘Western Travel Writing’ and representational space in her landscape paintings by integrating the theory of mobilities into the travel text. She was Korea’s first feminist author who wrote the long travel sketch (1 year and 8 months). First, in terms of the mobility of liminal senses and transportation, experience of western culture through trains and steamers and experience in interspace such as railway stations and train cabins described landscapes through a motorized sightseeing vision while experiences in transiting national border regions were expressed with a regional difference. Second, for gender mobility via daily routine and experiences, Na Hye-seok underwent romantic love and liberal women’s lives in cities and formed mobility in awareness of gender. Lastly,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al space such as Spain and Paris was interpreted as a motive to form and change identity through her landscape paintings which reflect mobile experiences.

1. 서론

2. 모빌리티 이론

3. 나혜석의 생애를 통해 살펴본 구미여행기

4. 나혜석의 구미여행기와 모빌리티 이론의 접목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