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Effects of U.S. Monetary Policy on Stock Prices and Term Spread in G7 Countries
- 김경곤(Kim, Kyoung Gon)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사회융합연구
- 제6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2.04
- 83 - 94 (12 pages)
본 연구는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펜데믹 이후 본격화될 연준의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국제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교훈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통화정책이 G7 국가들의 주가와 장단기 금리차에 미치는 영향이 2007-2008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2001-2017년 기간의 월별 자료를 이용한 VECM(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분석 결과, 금융위기 이전의 미국 연준의 예상하지 못한 긴축적인 통화정책은 G7 국가들의 주가 하락 및 장단기 금리차의 감소로 이어졌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에 미국 연준의 통화 긴축은 G7 국가들의 주가 상승 및 장단기 금리차의 확대로 연결되었다. 팬데믹 이후에도 미국의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주식 및 채권 시장에 이와 유사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각국 중앙은행의 관심이 필요하다.
To learn lessons on how the Fed s monetary tightening after the pandemics would affect the global financial market, I examine whether the global transmission of U.S. monetary policy surprises to stock price indexes and term spreads in G7 economies changed after the 2007-2008 financial crisis. I estimate a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using monthly data spanning 2001-2017. I find that monetary tightening induces a reduction in stock price indexes and term spreads before the crisis. This confirms the conventional view of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stock and bond markets. However, an unanticipated tightening in U.S. monetary policy leads to an increase in stock price indexes and term spreads in the post-crisis period. This positive response is at odds with the conventional view. Central bankers should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U.S. monetary tightening will have a similar effect on the stock and bond markets in the post-COVID era.
1. Introduction
2.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5. Con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