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56.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운항(連雲港) 봉토석실묘(封土石室墓)의 역사(歷史) 성격(性格)

A Historical research on Lenyungang(連雲港) stone chamber tombs in Jangsu, China

렌윈강은 한반도와 중국 사이의 해상 교통로상의 필경지(必經地)이다. 백제가 중국의 창장(長江)유역의 동진?남조와 공식외교 활동을 개시한 시기는 물론이고, 특히 고구려가 랴오둥반도 일대를 영역화한 5세기 초 이후 기존 항로 이용이 제약을 받으면서 등장한 서해 횡단 항로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았다. 렌윈강 지역에서 발견된 토돈석실묘(土墩石室墓) 는 그 구조나 평면 형태로 보아 7세기 전반부터 백제가 멸망하는 660년 사이에 중서부 연해지역에 유행하였던 묘제와 가장 유사도가 높다. 그 이면에는 렌윈강이 가지는 고대 항로상의 역할이 작용하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 횡단 항로를 위한 중요한 선급(船給) 활동에 종사한 이들 가운데 백제계 주민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660년 백제 멸망과 함께 백제인 1만 2천~2만명이 중국으로 압송되었던 사실도 주목되어야 한다. 당시 이들이 상륙한 지점은 지금의 렌윈강이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들이 모두 당시 당(唐) 황제가 있던 낙양(洛陽)으로 이송되지 않았을 가능성은 충분하며, 그 가운데 다수는 기왕에 백제계 항로 종사자들이 정착하고 있던 렌윈강 일대에 안치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현재까지 중국 어디에서도 유례(類例)가 없는 한반도 백제계 석실묘가 렌윈강 일대에 다수 분포하고 있는 고고학적 사실은 당시의 그러한 역사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Lenyungang(連雲港)where is on the critical marine transportational route, relate Korean peninsular with southern main land China, located in uppermost northern edge of Jangsu(江蘇). Especially, early 5th century onward existing so called north line northern route that pass through Korean peninsular northwestern coast shore via Lianing(遼寧) peninsular to Sandong(山東) had been blocked by Koguryo(高句麗), Lenyungang`s strategical importance got higher. At that time Backje(百濟) had frequently dispatched diplomatic envoy to Southern governments of mainland China, who assumed to via Lenyungang to Jiankang(建康) route called north line southern route . Under these historical situation Lenyungang played role of main catering port, resulted in some Backje people colonizing in that place engaging preparing for long distance sailing across West sea. High similarity of Lenyungang region stone chamber tomb with Korean peninsular ancient stone tomb, particularly with first half 7th century of Backje supposes such interesting historical background. More noteworthy fact is that A.D 660, on the Backje`s collapsing by Tang(唐) and Shilla(新羅) union force, over twelve thousand Backje people had taken to Tang, China. They also was Assumed to pass through Lenyungang port, some people was to reside in Lenyungang. Until now nowhere but Lenyungang found stone chamber tomb. This unique archaeological phenomenon convincingly was related with above mentioned historical background.

I. 렌윈강 봉토석실묘에 대한 인식

II. 렌윈강 석실묘와 백제 사비기 석실묘 비교

III. 렌윈강 석실묘의 출현 배경

IV.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