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62.jpg
KCI등재 학술저널

백제(百濟) 한성기(漢城期) 저장시설(貯藏施設) 확산(擴散)의 동인(動因)

Expansion Motive of Storage Facility in Hansung Period of Baekje: Focused on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 209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 저장시설의 등장과 확산의 동인을 고찰해보고자 단면 플라스크형 저장수혈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저장수혈군의 분포권은 크게 차령이북 지역과 차령이남 및 서해안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에서는 4세기 전반 수혈군이 등장하여 4세기 후반∼5세기 전반경에 전성기를 맞이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4세기 중반경부터 본격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하여, 5세기 중반경에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저장수혈군의 출현과 보급양상은 집중성, 계획성, 규격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일부 연구들에서는 수혈의 기능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지만 연관된 고고자료 및 연구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이 유구는 충분한 저장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주요 저장수혈군 유적들은 저장기능의 전문화 정도를 의미하는 저장수혈 분포밀도(단위면적당 저장수혈의 수), 저장수혈 조성비(전체수혈 대비 저장수혈의 수)에서 모두 평균치 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혈의 형태와 크기(평균바닥지름 2.3∼2.5m)에서는 규격화의 증거들이 확인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대규모 저장수혈군은 주로 현재의 용인, 오산, 연기(現 세종), 논산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 유적들은 주로 한성백제 엘리트집단의 지역사회 재편전략에 의해 새롭게 조성된 취락이나 주로 최상위 위계의 유적과 일정정도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 특징이 있었다. 종합해보면 한성기 저장수혈군은 국가적 차원에서 설립되고 운영된 창고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중앙의 직접적인 영향력 아래에서 경제적 기반(조세)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계획적인 배치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국 계획수치가 적용된 대단위 저장수혈군의 등장과 확산 현상은 한성백제가 고대국가로서 성립하고 발전하는 과정에서 작동하였던 기초적인 경제시스템(공납체계 혹은 조세·수취제도)의 산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multilateral study on morphological change of Flask-Shaped Cross-Sectional Storage Pit to figure out the reason of its appearance and spreading. The facility was deeply related to social change of Baekje. Storage Pit complex can be divided into different distribution, the northern Charyeong and southern Charyeong with the West Cost. At the former region the complex appears around beginning of 4C and hits its highest in between late 4C and early 5C. At later region started in mid 4C and most numbered in mid 5C. Emergence and dissemination of the Storage Pit complex can be figured according to convergence, planning and standardization. There were questions on object and usage of the Storage Pit, yet Archaeological data shows its full capacity of storage. Main Storage Pit complex sites show high value in distribution density and subsidy which represents specialization level of storage function. Shape of the Storage Pit and mean diameter of bottom section(2.3~2.5m) can be considered as evidences of standardization. Moreover, the complexs’ are mostly situated around the secondary level site or newly built settlements due to re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 by commanding group of Hansung Baekje. They are now in todays’ Yongin, Osan, Yeongi(Sejeong), Nonsan and so on. In sum, Storage Pit of Hansung period was built and run as national level of storehouse in planned arrangement, under direct influence of central government for effective management of economy system(public imposts). In conclusion, appearance and proliferation of Storage Pit with specialized planned figures in large-scale represents Hansung Baekje as ancient country. It was a result of fundamental economic system(public imposts system or taxsystem) activated during it’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procedure.

Ⅰ. 머리말

Ⅱ. 저장수혈군 분포양상 검토

Ⅲ. 저장수혈군 조성의 시공적 특성 분석

Ⅳ. 저장수혈군 확산의 동인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