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64.jpg
KCI등재 학술저널

오(吳)나라 수도 건업(建業)의 도성(都城) 공간과 장지(葬地)

On the Urban Space and Burial Area of Capital City Jianye of Eastern Wu Kingdom

본고는 현재까지 발표된 남경지역의 兩漢, 孫吳, 西晉시기의 고분 자료를 망라한 후, 도시 공간과 葬地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양자 사이의 상호 영향을 분석했다. 양한시기에 설치된 강승(江乘), 호숙(湖熟)두 현의 주변지역에 다량의 고분이 분포하는데 비해 손오시기 宮都가 건설된 현 남경시내는 고분을 찾아볼 수가 없을 정도라, 이를 통해 손오시기 도성 위치 선정의 원칙을 추정해볼 수 있다. 吳晉시기에는 도성 주변 고분의 숫자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동시에 대형 葬地의 집중 분포 지역도 동, 남, 북 세 곳의 교외로 넓게 형성되어 都城圈의 내실이 점점 더 강화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무덤의 형식 그리고 출토된 매지권, 명문전 등의 문자 정보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建業의 도성권 사회는 상당히 다원화된 사회였고 또 복잡 다양한 신천지였음을 알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 between urban space and its burial area, the paper firstly includes all published unearthed tomb materials from Han(漢) to Western Jin(西晉) dynasties in Nanjing(南京), and then attempts to uncover the interactive relations. Compared to the densely dispersed tombs around the outskirts of Jiangcheng(江乘) and Hushu(湖熟) county, both of which are established as administrative divisions in Han, Nanjing, the capital city of Wu Kingdom(吳國), can hardly find any tombs within its space, which in turn reflects the principles of selecting a capital city when Wu Kingdom were founded. During Wu Kingdom and Jin(晉) period, the peripheral areas, especially the eastern, southern and northern side of Nanjing witnessed a phenomenal increase of tombs, the content of urban space of Nanjing begins to materialize. In an analysis of the tomb shape, excavated land-buying voucher and other brick inscriptions of this period,the paper confirms that the capital circle of Jianye(建業) has already deeply changed and evolved into a quite diversified new society.

Ⅰ. ‘都城圈’과 ‘都城圈 社會’- 머리말을 대신하여

Ⅱ. 孫吳의 建都 이전 南京지역 縣邑과 葬地

Ⅲ. 吳의 수도 建業의 도성 공간

Ⅳ. 建業 주변 吳晉시기 장지의 분포와 형성 요인

Ⅴ. 建業 주변 吳晉시기 무덤의 형식적 특징

Ⅵ. 무덤에서 보이는 吳나라 도성 建業의 ‘都城圈 社會’

Ⅶ.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