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166.jpg
KCI등재 학술저널

百濟 王興寺址 出土 舍利莊嚴具와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

Buddhist Reliquary Set from Wangheungsa Temple Site in Baekje and Its Cultural Relation to East Asian Buddhism in the Sixth Century

2007년 부여 王興寺址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일괄품은 현존하는 한국의 사리장엄구 중에서 거의 완전한 상태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현존례이다. 이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역사기록에 전하지 않는 백제 위덕왕 연간의 불교문화를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사리장엄구는 목탑 地下部에 마련된 사리안치석 안에 봉안되었던 3중의 사리기(舍利器)와 그 주변에 흩어진 상태로 공양된 각종 공양품(供養品)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리기의 명문에 의하면, 이 탑은 577년 백제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서 세웠으며, 당시 붓다의 사리가 2개에서 3개로 나누어지는 神異가 일어났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王興寺址 사리장엄구의 연구 현황 및 양식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 사리장엄구가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에서 가지는 문화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王興寺址 사리장엄구의 구성 방식은 기본적으로 중국 南朝 양무제 연간의 長干寺塔 사리장엄방식과 불교사상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조형적 측면에서는 백제화된 양식을 보여준다. 또한 최근 발견된 6세기의 중국 北齊時代 核桃園 塔址 출토 사리장엄구들과도 다소 양식적인 차이를 보여주어, 백제 불교문화의 독창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리기에 기록된 王興寺址에서 일어났던 佛舍利의 神異는 위덕왕의 불교적 전륜성왕 사상을 반영한 기록으로,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의 정치적 성격과 기존 사료에 남아있지 않았던 숨겨진 역사를 알려준다. 위덕왕의 불교적 전륜성왕 사상과 佛舍利의 神異 사건은 同時代 일본에 큰 영향을 주어, 일본 최초의 舍利神異 기록인 大野丘의 北塔 건립으로 이어지게 된다. 6세기 동아시아의 전륜성왕 사상을 반영하여 조성된 위덕왕 연간의 王興寺址 사리장엄구는 당시 중국과 일본으로 다각적 교류를 했던 불교적 전륜성왕으로서의 위덕왕의 위상과 백제 불교문화의 독창성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In 2007, a Buddhist reliquary set was excavated from Wangheungsa temple site in Buyeo. It consisted of three metal relic caskets for enshrining the Buddha’s relic and many religious offerings donated for the relic. This arrangement of the relic caskets and offering objects represents the oldest untouched existing example of Buddhist relic veneration in Korea. The inscription engraved on the surface of a bronze relic casket tells us that the patron of this temple and pagoda was King Uideok of Baekje. The inscription says that the Buddha’s relic performed a miracle of self-division when the King built this pagoda in 577. This new information conveys that King Uideok, the Buddhist patron of this relic veneration, could be considered an ideal Buddhist King, known as a Chakravartin. In this paper, I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Wangheungsa reliquary set and analyze its cultural meaning from an East Asian historical perspective. The constitutional style and Buddhist ideology of this reliquary was influenced by the Buddhist relic veneration of Changgansi Ashokan pagoda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di of Liang, China. However, the artistic expression and technical method of Wangheungsa reliquary was changed into the original Baekje style. The style of Wangheungsa reliquary also differs from the style of a Buddhist reliquary set newly excavated from a Buddhist pagoda ruin of Hetaoyuan site in Yecheng, built in the Northern Qi, China. There is no mention of Buddhist culture and art under King Uideok of Baekje in the existing historical records, but the excavation of the Wangheungsa reliquary gave a new vision of this art and culture, which was noteworthy for its highly developed originality. In addition, the miracle of the Buddha’s relic described on the inscription tells us that King Uideok self-identified as a Buddhist Chakravrtin. According th Nihon Shoki, King Uideok spread Buddhism to Japan at that time, thus affecting Japanese Buddhism. The inscription of Wangheungsa reliquary can be interpret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missing link of the East Asian Buddhist world in the sixth century. It tells us about the unknown Buddhist Cultural development of Baekje and King Uideok’s forgotten self-identification as an international Buddhist Chakravartin.

Ⅰ. 머리말

Ⅱ. 백제 王興寺址 출토 사리장엄구의 연구 현황

Ⅲ. 백제 王興寺址 출토 사리장엄구의 구성과 특징

Ⅳ. 백제 王興寺址 출토 사리장엄구와 중국의 불교문화

Ⅴ. 불교적 전륜성왕으로서의 백제 위덕왕과 일본의 불교문화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