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어휘 능력은 문법과 더불어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초급 수준의 학습자들이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목표어의 문법 지식보다 어휘력이 관건이라는 점에서 보면, 문법보다도 더 핵심적인 위치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의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현장에서 어휘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마찬가지이다. 의사소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프랑스어가 포함된 제2외국어 영역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업 시수로 인해 사용 가능한 어휘와 문법을 제한함으로써 교육 내용과 수준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프랑스어Ⅰ 교과목과 관련된 어휘 목록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등학교 프랑스어Ⅰ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 어휘 목록을 구성하는 원칙이라고 할 수 있는 기본 어휘표의 일러두기와 이를 반영한 기본 어휘 목록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을 논의해볼 것이다.
Dans le processus d’apprentissage d’une langue étrangère, le vocabulaire de la langue cible est un facteur très important avec la grammaire. À titre d’exemple, il n est pas exagéré de dire que la connaissance du vocabulaire est plus importante que celle de la grammaire dans le cadre d’une ‘réussite’ de la communication avec le natif. Il en va de même pour l enseignement du français au lycée en Corée. En effet, l’enseignement du français, centré sur la compétence communicative propose inévitablement la liste du vocabulaire et de la grammaire à enseigner afin de limiter le contenu d’apprentissage à cause du manque de temps consacré au français. Cette étude a pour objet d’examiner les problèmes de la liste du vocabulaire de base figurée sur le programme officiel du françaisⅠ révisé de 2015 et d’en proposer quelques mesures pour améliorer la situation.
1. 들어가는 말
2. 2015 개정 프랑스어 교육과정
3. 맺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