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의 생태지향적 자연관

Ecologically Oriented view of Nature as a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 321
162724.jpg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제시된 생태지향적 자연사상은 고대로부터 중세를 거쳐 근대의 낭만주의사상에 이르기까지 기계론적 및 수학적 자연사상에 기반 한 이성중심주의에 대비되는 사상으로서의 전통을 형성하며, 근현대의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전개되어 온 이 사상들은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내용들을 가지나, 목적론적 자연관과 생물윤리적 사상 및 생태-총체론적 사고를 공통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사상들은 자연에도 인간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영성(정신)과 생명을 인정하며, 자연을 합리적인, 선한 목적을 지향하여 변화, 발전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념에 근거하여 자연을 인간의 효용적, 쾌락적 대상이 아니라, 그 고유성에 따른 생명권을 인정하는 생명윤리적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나아가 이 사상들은 자연을 인간의 삶의 환경으로서 파악하고, 인간과 자연을 주체와 객체로 분리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가 아니라, 조화와 협동관계 안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Ecologically oriented natural ideas presented as alternatives to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developed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romantic ideas, and from mechanical and mathematical natural ideas to modern postmodernism. These ideas, which have been developed historically, have various details, but they are characterized by a teleological view of nature, bioethical ideas, and ecological-totalistic thinking. These ideas are similar to humans in nature, or they recognize the same spirituality (spirit) and life, and they regard nature as changing and developing for a reasonable and good purpose. Based on this idea, nature is not a useful and hedonistic object, but a bioethical idea that recognizes the right to life through its inherent nature. Furthermore, these ideas try to see nature as a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humans and nature as subjects and objects, no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rs and rulers, but in harmony and cooperation.

1. 들어가는 말: 생태지향적 자연사상의 역사

2. 고대의 목적론적, 유기체론적 자연관

3. 중세의 생태지향적 자연사상

4. 근대 낭만주의 철학과 자연관

5. 나가는 말: 낭만주의 사상의 실천적 적용과 전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