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도자(제주의 도자문화)의 고찰 및 분석을 통하여 지역도자의 장점을 이용한 도자제품디자인 연구를 함으로서 지역산업(제주의 관광산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는 한해 600만명이 넘는 관광객이 찾아오는 세계적인 관광도시이다. 또한 유네스코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가 지정한 세계자연유산이다. 이런 환경 속에서 제주의 관광의 형태는 과거에 경관 위주에서 최근에 들어서는 체험과 독특한 상품구매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현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단편적인 가치보다는 통합적 가치 중시 등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점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인간(관광객)의 변화욕구와 제 환경을 배경으로 인간에게 새로운 물적 환경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제주문화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하고 독특한 제품디자인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래 문화의 주체는 인간이며 각 사회 집단의 서로 긴밀한 관계 속에서 다른 문화와의 융합 혹은 갈등하는 역사적 과정을 거쳐 수 세기 동안 축적되어 발전하여 왔다. 우리의 도자문화도 새로운 시도, 다른 문화와의 융합 속에서 발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지역의 도자문화(제주전통도예, 제주의 지역적 특성)를 고찰하고 제주도내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의 현황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지역성을 느낄 수 있는 도자제품디자인 제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제주 현무암이 지닌 물성(物性)과 제주전통도예의 이미지 접목으로 도자예술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살펴봄으로서 이를 통해 제주의 관광산업과 도자문화의 발전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methods for advancement of Jeju tourism industry by researching Jeju pottery works design and its strength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Jeju pottery industry and its pottery culture. Jeju is the international tourism city where 6 million people visit every year. Jeju is cultural heritage tha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designated. Jeju tourism type and course have been changed from the natural sightseeing to Jeju s unique products and experiences.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emphasizes on the social and cultural integrity rather than the fragmentary values. For this, development of various and specific Jeju cultural product s design is needed in the consideration of visitors needs for a change and Jeju s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 Men are the culture s subject. For many centuries our cultur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relation of each social group, and fusion and conflicts with other cultures. Our pottery culture will be developed through ceaseless trials and the fusion with other cultures. This thesis examines Jeju pottery culture and the process of pottery industry and suggests pottery products design that shows Jeju culture and local peculiarities. This thesis also examines Jeju basalt and its relation with the image of Jeju traditional ceramics, which will contribute to Jeju tourism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pottery culture.
개요
ABSTRACT
I. 서론
II. 제주의 도자문화와 화산석(현무암)의 고찰
III. 제주관광 제품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IV. 도자제품디자인의 연구 및 제안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