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자제작의 과정 중 시유의 한 기법인 이중 시유기법을 활용하여, 유약의 용융점 차이와 말림 현상에 따른 유약의 자연스러운 발색과 질감을 유도하고, 우연의 효과를 조절하여 얻을 수 있는 추상적인 이미지의 표면효과를 구현하고자 하는 본인의 일련 작품에 관한 것이다. 용융온도와 소성 후 표면 질감이 상이한 유약의 겹침은 높은 용융점을 가진 유약의 용융점을 낮추며, 성질이 다른 유약이 녹는 과정에서 융합되거나 서로 밀어내면서 독특한 질감과 발색을 나타낸다. 단일 유약 고유의 색과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소성온도와 소성시간의 일정한 패턴을 유지해야 한다. 반면, 두 가지 이상의 유약을 겹치거나 덧씌우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이한 용융온도의 중간점을 찾아내야 하며, 작은 온도 차이에 의하여 다양한 효과가 생기기도 한다. 일차 시유된 유약에 다른 유약을 도포하여 유약의 중첩된 효과와 함께 유약을 일부 두껍게 시유하면 유약이 건조하면서 말림 현상이 나타난다. 유약의 겹침에 의한 작품들은 유약의 두께, 습도, 소성온도에 따라 단일 유약에서 예상되는 효과와 다른 결과를 가져 오며, 이러한 제작과정을 조율하고 패턴화하는 것이 작품 제작의 큰 관건이 된다. 유약 겹침에 의한 효과는 나의 작품 제작에 있어 끊임없이 반복되어 표현하고자 하는 주된 소재였으며, 소성 결과에 따른 우연적 효과의 반복 작업을 거쳐, 의도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약의 이중시유기법을 통한 우연적 효과를 의도적인 추상적 이미지의 표현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하여 도자예술의 또 다른 시각적 표현의 확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on a series of my work with the aim of inducing the phenomenon such as dryi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elting temperature and to the property in glaze, and the coloration and texture in glaze, by utilizing the overlapping(double grazing application) technique out of the process in ceramic manufacturing, and of implementing the surface effect of abstract image, which can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coincidental effect. The overlapping in glaze, which is different in the melting temperature and surface texture, lowers the melting point in glaze, which has high melting point, and comes to represent unique texture and coloration while glazes with different are fused or push each other. To express color and texture peculiar to single glaze, the consistent pattern needs to be maintained in the firing temperature and plastic tim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overlapping and overlaying glazes in more than two kinds, it need to find out the melting point in different glazes. Diverse effects occur as well according to small difference in temperature. The cracle is indicated given the grazing application in acondition of partially supersaturation to the glaze, in addition to the overlapping effect in glaze by applying different glaze to the primarily-applied glaze. The works by overlapping in glazes bring about different result from the effect that is expected in the single glaze according to thickness, humidity, and firing temperature in glaze. What adjusts this manufacturing process and makes it pattern become the key point in manufacturing a piece of work. The effect by the overlapping in glazes was the main theme that aims to continuously express repetitively in manufacturing my work. Over the repetitive work in the coincidental effect according to the plastic effect, it came to be placed as the intentional expression. This study aims to seek for the expansion in another visual expression in ceramic art through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coincidental effect through the double grazing application in glazes as the expression of intentional abstract image.
개요
Abstract
1. 서론
2. 본론
3. 작품설명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