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적인 아름다움을 구현한다는 것은 단순히 심미성의 표현만으로 완성되는 것은 아니며 사물의 목적과 기능의 중요성에 기인하는 실용성이 제 역할을 함으로써 공예적인 아름다움을 특징짓게 된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공예의 아름다움을 실용성에서 찾고 무엇을 목적으로 하며 어떻게 쓰일 것인가에 대한 중요성을 주장한다. 이러한 사물의 목적 및 기능으로부터 비롯된 실용성과 적합성의 개념은 조선시대의 도자제기(陶磁祭器)의 성립과 그 배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제기(祭器)의 본질적인 특성과 제작 배경으로부터 비롯된 도자제기의 실용적 목적과 의례용기로서의 적합성을 밝히는데 연구의 의도가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도자 분야에서 연구된 실증적 자료와 문헌 사료를 토대로 제기의 특성과 제작 배경을 파악하고, 제기의 목적과 적합성 및 실용성의 문제 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조선은 건국 이후 유교국가로서 예(禮)를 실천하고 왕실의 권위와 명분을 가시화하기 위해 의례용기의 정비와 제작을 하였으며, 제기는 오례(吉禮, 嘉禮, 賓禮, 軍禮, 凶禮)를 준행하기 위한 중요한 의례기(儀禮器)였다. 또한 고려말기부터 지속되어 온 금속원료의 부족 현 상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도자제기의 제작과 사용이 요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자제기는 근본적으로 유교적인 예의식을 실천하고 제기에 담긴 상징적 의미들을 구현하는 기(器) 이며, 유교적 이념을 통해 사회와 인간을 연결시키고 사람과 사람들 사이를 예(禮)로서 매개해 주는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기에 알맞은 기(器)로서 전개될 수 있는 실용성과 적합성을 함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Embodying beauty through crafts is not simply restricted to expressing aesthetic features, but technological beauty is also characterized by putting in place practicality based on the purpose of things and their functional importance. Yanagi Muneyoshi finds the beauty of crafts out of usefulness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ir purposes and uses. Such a concept of usefulness and adaptability stemming from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an object can also be found in the existence and background of ceramic ritual vessel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is intended to throw light on the purposeful suitability and vessel usefulness coming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Joseon period. To this end, based on the positive data and historical literature made so far in the area of porcelain, flow of change in social and cultural styles was grasped to develop discussion on the purpose and suitability of ritual utensils. As a result, Joseon organized and manufactured ceremonial vessels in order to carry the proprieties into effect as a Confucian state and exhibit the authority and cause as the Royal household, using ritual utensils as a vital ceremonial vessel for observing the Five National Proprieties (Oh-rye). Porcelain ritual utensils were also required to manufacture and use as a solution for the lack of metal materials, which lasted from the end of Goryeo. Also to be noted is that ceramic ritual vessel is basically a bowl for practicing Confucian sense of propriety as well as embodying the symbolic meanings contained in the ritual vessel, implying the usefulness and adaptability to be unfolded as a vessel suited for the roles and functions of connecting the society and man, and carrying decorum between man and man.
개요
Abstract
1. 서론
2. 실용성과 적합성의 개념과 의미
3. 도자제기(陶磁祭器)의 실용성과 적합성
4. 결론
참고도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