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의 고유한 개념과 내용은 재료의 속성에 의존하고, 반드시 손으로 제작된 것이며 각 지역의 문화적인 실체라는 점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예교육은 고도로 발달하고 있는 디지털 산업사회에서 잔존하는 소수의 아날로그적 행위에 기반을 둔다. 그러므로 공예교육은 디지털 산업 사회에서 상실되어 가고 있는 아날로그적 행위, 즉 정신적 집중과 육체적 노동으로 얻어지는 결과물을 통해 인간의 정체성을 확인하며, 공예 영역에 담긴 통합적 지식을 인식하고 향상시켜 미래의 문화를 읽고 창조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공예교육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삶의 원형으로서 존재론적 가치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둘째, 개인의 표상형식으로서 도구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내면적 성숙의 인식론적 가치로 탐색되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사회의 시각문화 홍수 속에서 아날로그적 재료와의 촉각적인 표상요인은 개인의 내면적 인지들을 발견하여 자아를 표현하는 매체로서 작용한다. 셋째, 실제로 그러한 표상형식들을 체험하고 감상하며 비평하는 행위인 소통의 속성에서 통시성과 보편성 그리고 개별성을 담을 수 있는 의미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공예교육의 가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인지발달과 관련된 변증법적 사고의 방법론으로서의 가치이다. 둘째, 공예의 기원이 되는 역할이 타자(다른 문화, 다른 이들)와의 소통에 있다는 점에서 타자에 가치를 두는 교육으로서의 가치이다. 셋째, 공예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지적인 성숙은 손과 사고의 협응과정으로서, 학습자가 암묵지와 형식지의 순환으로서 자신의 지식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치이다.
The inherent concepts and content of crafts rely on the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Craft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produced by hand and resonate the cultures of the individual regions in which they are produced. Against this backdrop, crafts education is based on limited analogue activities which exist in this highly-advanced digital-based industrial society. Hence, the meaning of crafts education can be found in that it revisits the human identity through works of crafts attained from analogue activities-the combination of mental concentration and physical labor, which is disappearing in this digital-industrial society. Moreover, crafts education enables the learners to recognize and further enhance the integrated knowledge in the field of crafts, thereby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nd create new cultures for the futur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crafts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following perspectives: First, it should the studied on the basis of ontological values. Second, it should be studied on the basis of epistemological values of inner maturity as well as instrumental values as part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s. In particular, the tactile representation of analogue materials in the deluge of visual images in the digital society serves as a medium to represent the ego by discovering one s inner cognition. Third, due to the nature of crafts, which can communicate through the acts of experiencing,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such representation formats, they can be used as a significant substance that contains the diachronicity, universality and severabilit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the following three aspects were presented as the values of crafts education: First, the value as a methodology for dialectical thinking that is related to one s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cognitive aspect of crafts. Second, the educational value, which comes from the the fact that the original role of crafts is to communicate with others(other cultures or persons). Third, the value lies in the fact that the learners intellectual maturity can be improved through crafts education, for the work of crafts is a result of coordination between the hands and thought. Crafts education can enable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knowledge-building process by circulating their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base.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공예교육의 가치
Ⅲ. 공예교육의 실천적 방향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