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45.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유약의 특성과 색도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Glaze and Chromaticity in Goryeo and Chinese Celadon

  • 25

고려청자는 중국의 송대(宋代)청자의 형상과 제작방법, 유약 특성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두 국가에서 생산된 청자는 기술적 우수성과 예술성으로 학술적 가치를 높게 평가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청자 대표지역인 월주요와 용천요 가마터의 청자도편 11점, 고려시대 관요청자인 강진청자 도편 7점, 부안청자 도편 11점을 정량적인 화학성분 분석을 하여 UMF (Unity Molecular Formula)식으로 유약의 특성을 분석하고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두 국가 청자 모두 석회석 유약을 기본으로 하며, 알카리 산화물 K2O의 높은 함량으로 보아 카리 장석을 사용하는 유약으로 판단되었다. 청자 발색의 변화는 Fe2O3와 TiO2의 비율에 따라 나타나며 강진 청자 5.2,부안청자 4.55, 중국 청자 10.42로 중국청자는 강진, 부안청자보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색역 분포도에서 중국청자에서 grayish dull G, GY, Y계열, 고려청자에서 grayish dull GY계열발색에 영양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UMF식 적용에 의한 유약의 특성은 강진과 부안청자에서 반투명 영역에 분포하였지만, 실제로는 환원번조와 F2O3에 의해 광택유(gloss)로 판단되었고, 중국청자는 유약 특성은 광택유(gloss)로 판단되었다. 강진과 부안청자는 grayish 톤(tone)인 태토의 영향으로 GY계열로 발색하는 유약층의 톤(tone)이 낮아졌으며, 중국청자는 grayish Y계열 톤(tone)인 태토의 영향으로 CIEb*값이 고려청자보다 + 값으로 진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요

Abstrac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