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4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도자에 나타난 조류문(鳥類紋)의 상징성과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Bird-Patterns Symbolism and Formativeness as found in Korean Pottery

  • 43

도자기는 우리미술품 중에 가장 종류가 많고 기형(器形)과 문양(紋樣)이 다양하므로 그 시대의 문화와 사회상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알려져 있다. 특히 문양은 그 시대의 사상과 감정, 풍속과 신앙을 읽어 낼 수 있는 자료이며 조형성이 뛰어난 것이 많다. 이 연구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에 시문된 조류문의 상징적 의미와 조형성을 고찰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도자기 문양에서 나타나는 식별할 수 있는 조류문의 종류는 봉황문, 학문, 원앙문, 앵무문, 오리문, 기러기문, 까치문, 박쥐문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식별하기가 힘든 조류는 거위, 매, 참새, 꿩, 까마귀, 공작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조류와 자태로 모양을 추정할 수 있는 조류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상징성과 조형성을 기술하였다. 조류문의 상징성은 종교, 신앙, 길상의 대상으로서 각기 조류 마다 의미성이 있다. 그것은 부귀영화, 장수, 건강, 장원급제, 안녕과 화합 등의 다양한 길상적(吉祥的)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조류문의 조형적 특징을 요약하여 보면, 첫째, 우리나라의 도자문양은 주목성을 가지고 있다. 다른 나라의 도자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백 없이 가득 채워진 문양 배치에서 오는 복잡 산만함은 찾아볼 수 없다. 도자 표면을 하나의 조형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감각적으로 배치하여 여백과 어우러져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주목성의 특징이 있다. 둘째, 색채 사용과 문양 배치 등에서의 간결성이다. 청자의 흑백을 사용한 문양의 형태는 어느 정도 도식화되어 절제 있게 표현된 간결함이고, 백자는 직관적인 붓질에서 오는 농담으로 조류의 생동감과 운동감을 잘 표현하였다. 셋째, 도자의 형태, 빈 공간, 문양의 조화에서 주목성과 간결성이 어우러진 고도의 회화성이다. 넷째, 주목성과 간결성, 그리고 회화성을 구성하는 문양들은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답답함을 찾아볼 수 없는 자연적인 것이 특징이다.

Since Pottery has many forms and patterns,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ajority of Korean artworks, it has been the primary source for determining the culture and sociology of its generation. It is thanks to the patterns and advanced modeling which allow the elucidation of emotion, ideas, customs, and faith that were present in its days of development. This research aimed to uproot and elaborate the symbolism and the method of formativeness behind the bird -patterns which are extensively engraved and painted in celadon, buncheong, and white porcelain. The most commonly perceived types of birds that appear in the pottery are the phoenix, crane, mandarin duck, parrot, wild goose, magpie, and bat. There are also the miscellaneous classed birds such as goose, hawk, sparrow, pheasant, crow, and peacock.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subjects mentioned above as they were positively distinguishable. Each bird has its own separate meanings such as religion, faith, and lucky omens. The phoenix represents ‘peaceful reign,’ the crane ‘long life,’ the mandarin duck ‘married life,’ the parrot a merry marriage, the duck the highest passing mark in the state, the wild goose faithfulness, wellbeing, and peace, the magpie happiness, gratitude, and justice, and finally the bat symbolizes ‘five blessings’ and prosperity. The significance about these patterns and forms is first, it doesn’t possess the sense of crowdedness in terms of how the patterns are organized when compared with other culture’s pottery. Korean pottery displays a skill of perspicacity by using the empty spaces as a part of the art itself and by spot lighting the birds to highlight the beauty of the overall simplicity. Secondly, it focuses on the briefness of color use and the positioning of the birds. Celadon engravings or inlaid-works show the creative and temperately formulized patterns, while the White Porcelain attempt to reflect the birds’ sense of motion and physicality through fine brushings. The third significance is its great collaboration of salience and simplicity. And the last is its absence of awkwardness, which frustrates the viewers, in use of all these aspects—salience, simplicity, collusion—that make this certain type of pottery unique.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