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646.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공방 도자식기 문양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 a Studio Ceramic Table Ware Pattern a Plan

  • 12

도예과를 졸업한 졸업생들의 대부분의 경제활동은 자영공방을 운영하며 교육 참여와 상품제작을 한다. 상품의 대부분은 식기이다. 식기의 기능은 21c 소통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도구이며 가장 중요한 장식기법의 주요 코드는 문양이다. 식기문양은 짧은 시간에 소통의 공감대를 나눌 수 있는 자연친화적 주제이며 디지털 세상에서 휴식을 원하고 있는 아날로그적 삶의 가치를 나눌 수 있는 가치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자의 기호코드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문양에 대해 논의하고 자영공방 도자 식기가 앞으로 공예문화산업으로서 국가 경쟁력의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서 도자식기 상품의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한국 도자식기 문양의 정의 양식 기법에 대해 문헌을 고찰하고 공방 도자 식기 문양의 선호도 조사와 분석을 위해 한국의 20대 초반 여성 도자식기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갖추지 않은 100명을 대상으로 현재 상품화되고 있는 공방 도자 식기의 문양을 예제 그림으로 개인의 문양 선호도를 설문 조사 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문양이 있는 식기 둘째, 음식을 담는 식기로서의 가장 중요한 청결함을 시각화한 백자소지의 발색 셋째, 식물문양, 넷째, 코발트 발색의 식기 선호가 높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으며 다섯째, 질문 13에서 가장 선호가 높았던 코발트 식기의 문양 선호도 조사를 위해 현재 상품화 된 코발트 문양 식기를 질문 17에서 22번까지 예제질문으로 제시하였다. 21c 공방도자 식기가 제도적 보호아래 세계인과 공감을 나눌 수 있는 문양이 새롭게 개발되어 한국식기의 새로운 공예문화산업이 도약되기를 기대 한다.

Most of ceramics graduates are running self-management studi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make potteries as their economic activities. Majority of potteries are tableware. The function of tableware is an important tool as a basis of communication in 21st century and its main code is patter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decoration technique. Tableware pattern is a nature friendly topic which allows to share a bond of sympathy of communication in short period of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value that the value of analog life which desires rest in this digital world can also be shared. This research discusses the pattern that can satisfy new customer’s preference code and to provide improvement plan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of self-management studio pottery tableware as a cultural product which can strengthen higher valu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s craft culture industry in the future, literature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patterns of Korean pottery tableware’s definition form,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preference of studio tableware pattern, 100 of Korean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 in pottery tableware were surveyed with patterns of currently commercialized self-management studio tableware in picture. As a result, the most preferred tableware was the one with a pattern followed by white porcelain type which visualizes cleanliness, the most important thing as a tableware as holding foods, and the third was a plant pattern, and the forth was a tableware with cobalt color. For the investigation of cobalt tableware pattern preference which was the most preferred in the fifth question 13, currently commercialized cobalt pattern tableware were proposed as an example from question 17 to 22. New craft culture industry of Korean tableware can make a new leap forward by developing new patterns of 21st century studio pottery tableware which can share a sympathy across the world under the institutional protection.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공방 도자식기 문양

Ⅲ. 도자식기 문양의 선호도 조사

Ⅳ. 21c 도자식기 문양의 기능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