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소지와 유약이다. 그런데 이 素地와 유약은 燒結體와 溶融體로 형성되어 있다1). 청자가 현대 생활용기로 발전하려면 개선되어져야 할 문제는 無龜裂소지와 유약이 최우선 선행 연구 되어져야 한다. 청자는 일반 백자와 달리 빙열이 많이 생기게 되는데 생활용기에서 빙열은 식품위생과 강도에 있어서 많은 저해 요소가 되어 왔다. 빙열은 유약 금 현상이라고도 하는데 이 현상은 저 팽창 소지에 고 팽창 유약을 발랐을 때 또는 반대의 경우에 발생 한다2). 따라서 본 연구는 시중에서 판매되어 지고 있는 청자소지와 유약 중 가장 밝은 소지와 유약을 선택하여 점토와 장석, 백토의 비율을 변화시켜 삼각 좌표에 의한 소지 조성을 구하였다. 초벌은 980℃에서 산화소성 하였고 재벌소성에서는 1260℃로 환원소성 하였다. 청자유를 시유한 시편들은 환원 소성 하여 실험시편 분석기기 Cary 100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L* a* b* 값을 분석하였다. L* a* b* 값으로 측색 후 KS 색조(tone)표를 이용하여 청자의 색조를 분석하였다. L값은 밝기를, a값은 증가할수록 적색, 감소할수록 녹색을 나타내며, b값은 증가할수록 황색이며 감소할수록 청색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하였다. 기본 조성실험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무균열 소지 3가지 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시중에서 사용되는 가장 발색이 좋은 유약을 표3의 조성비로 확보 하였다. 청자 소지 태토는 YR계열 또는 Dark Y계열을 띄고 있다. 청자유를 시유한 시편들은 모두 BG계열을 나타났으며, 각각의 시편들은 편차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태토의 시편들은 대체로 명도가 N6이하로 낮은 반면에 청자유를 시유한 것은 평균적으로 N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자유약을 측색한 결과, 색도의 변화는 GB계열 범위 안에서 매우 근소한 차이가 나타났다.
In order to develop celadon as modern everyday tableware, crack-free clay and lacquer should be studied first. Unlike regular white porcelain, celadon is prone to surface cracks, but surface cracks on everyday tableware have been a problem in terms of sanitation and durability. Surface cracks are also called lacquer cracks and caused when high-expansion lacquer is applied to low-expansion clay, or vice versa. Therefore, this study chose the brightest clay and lacquer among the clay and lacquer products for celadon available in the market and altered the ratio of clay, feldspar, and terra alba to compose the clay using triangular coordinates. The samples were fired at 980℃ for primary firing. For second firing, the clay sample was oxidizing-fired at 1260℃, while the samples coated with celadon lacquer were reduction-fired. Then, Cary 100 UV-Visible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colors by the L*, a*, and b* values and analyze them using the KS Tone Table. It was found that the L value shows brightness, while the a value appears red as it increases and green as it decreases and the b value appears yellow as it increases and blue as it decrea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bove experiment, three formulations were finally secured for crack-free clay. The market-sold lacquer with the best color appearance was used for the formulation in Table 3. The clay for celadon is YR or Dark Y in color. All samples coated with celadon oil were BG in color with no significant discrepancies. The samples of clay showed rather low brightness at N6 or under, but the samples coated with celadon oil were N5.5 in averag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olor of celadon oil, the discrepancies in tone were very little within the range of GB.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