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미술교육현장에서의 재료에 대한 확장을 위한 방안으로 초등학교 도예수업을 위하고 초등 도예수업용 도예재료 실험 연구를 위한 논문으로서 도자기 흙과 타 재료를 가미하여 응용한 초등도예 수업개발 및 도자기 수업재료의 활성화를 위해 모색하고자 한다. 도자기(陶磁 器)흙 중에서 1100~1150도에서 사용하는 흙으로 철성문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한국 전통의 흙이자질그릇과 오지그릇을 아울러 이르는 옹기토(甕器土)를 가지고 돌이 잘게 부스러진 가루인 돌가루 그리고 나무를 불에 구워 낸 검은 덩어리인 숯 등을 이용하여 초등도예수업 재료 확장을 위해 실험을 연구하였다. 옹기토(甕器土)를 이용하여 돌가루 및 숯을 미술시간의 물감을 더해 사용하여 도예수업개발 프로그램을 도모해보고 이후에 어떠한 발색효과가 되는지를 실험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미술재료개발에 대한 창의성과 동기부여를 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료 사용에 있어서는 숯의 재료는 재질이 단단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주로 갈참나무·굴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가 사용된다. 참나무류로 만든 숯을 참숯이라고 하는데, 참나무와 밤나무를 이용한 숯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돌가루의 경우는 학생들이 주변과 냇가에 가서 수집한다양한 돌들을 쇠 절구를 이용해 돌가루를 빻아 체에 걸러 세척해 해가 잘 드는 곳에 하루정도 건조시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대학생은 2014년 수업과 2015년 수업에 참여한 광주교대 2학년 350여명 수강 학생들을 중심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도예 수업자료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첫째, 도자기 소지와의 응용될 수 있는 타 재료를 활용한 도자기 소지와의 융합은 도자기에 대한 즐거움과 상상력은 물론 초등도예수업을 통해 도예에 대한 이해도를 더 높일 수 있음을 찾아볼 수 있다. 둘째, 초등 도예교육과 도예 수업 자료 개발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수업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자연물과 흙만을 이용해서 폭넓은 초등미술 수업의 영감은 어린아이의 창의성 향상과 수업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숯의 질감과 무궁무진한 돌가루의 색깔들은 돌가루를 이용한 새로운 표현법에 도전할 수 있는 밑바탕을 찾아볼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돌가루의 경우는 각각의 돌들의 모양이 다 다르듯 다양한 색깔과 질감의 가루가 옹기토(甕器土)와 잘 융합되어 또 다른미의 창조에 기여할 수 있는 초등도예수업 재료개발이 이루어짐을 찾아볼 수 있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examined the elementary ceramic education through the elementary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effect utilizing the ceramics groundwork such like Stone dust, Charcoal, and Onggi clay. For this, a researcher examin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the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and the significance making the research object with 35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GNUE. The significance of ceramic-art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utilizing the Stone dust, Charcoal, and Onggi clay is the next. First, can raise the comprehension degree about th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art culture and ceramics groundwork utilizing the nature of multi-groundwork than the usual teaching-clay. Second, for the elementary art teaching,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having an affinity for environment through ceramic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using various clay. Third, can contribute the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hat could get the abundant inspiration utilizing a nature object such as paper, tree, stone, and the mud. Fourth, can contribute the originality prompt that get the student to make the various plastic arts with the mud having the simple and plain nature. Fifth, can contribute the creation of elegant curve beauty and natural beauty.
개요
Abstract
Ⅰ. 서론
Ⅱ. 옹기토(甕器土)와 돌가루 및 숯을 이용한 초등도예표현 방법
Ⅲ. 옹기토(甕器土), 숯, 돌가루를 응용한 특징(特徵)과 효과(效果)
Ⅳ. 결론
참고문헌